Tuesday, August 26, 2025

삼조승찬대사(三祖僧璨大師)의 신심명(信心銘) 1, 2 장

至道無難 (지도무난) 지극한 도는 어렵지 않으나

唯嫌揀擇 (유혐간택) 오직 간택함을 꺼릴뿐이다.

깨달음의 길, 즉 진리는 결코 어렵거나 힘든 것이 아니다. 다만 무언가를 가려 선택하려는 마음, 분별하고 잣대를 들이대는 마음이 문제일 뿐이다.

The path to enlightenment, or truth, is never difficult or hard. 

The issue lies in the mind that seeks to make choices, the mind that judges and holds biases.


但莫憎愛(단막증애) 미워하고 사랑하지않으면

洞然明白(통연명백) 통연히 명백해진다.

우리의 마음은 미워하거나 사랑하는 대상에 집착할 때 망상과 번뇌에 휩싸이지만, 그런 분별심을 버리고 나면 마음이 통연하게 밝아져 모든 것이 분명해진다

When our minds are fixated on objects of hatred or love, they become engulfed in delusion and affliction. But when we let go of such discrimination, our minds become clear and everything becomes clear.

Monday, August 18, 2025

Satipaṭṭhāna Sutta

Bhikkhu Anālayo, Daniel Aitken | The Satipaṭṭhāna-sutta | Wisdom Podcast | 2016


Joseph Goldstein Satipatthana Sutta part 1 - The direct path to liberation.


























































Sunday, August 17, 2025

Reincarnation vs. Rebirth

There is an insurmountable difference between reincarnation and rebirth. 

One is describing Hinduism's "Self" being born again and again after a death after death, keeping the "I' entity intact.

The other is Buddhism's description of "No-Self" as being a continued life that has no permanent "I" or death until enlightenment. Death in Buddhism is like waking up a new morning with a new body with the same "I", cumulative karma of yesterday, no permanent "I" attached to it.

환생과 재생 사이에는 극복할수없는 차이가 있다.

하나는 힌두교의 "자아"가 죽음 이후 계속해서 태어나면서 "나"라는 실체를 그대로 유지한다고 설명한다.

다른 하나는 불교의 "무아"로 영원한 "나"가 없는 열반에 들기 전까지 지속적인 삶을 말한다. 불교에서 죽음은 영원한 "나"가 없는 어제의 "나"의 업보로 새로운 몸으로 오늘의 새 아침에 깨어나는것과 같다.

Saturday, August 16, 2025

My understanding of "No-Self."

I did not come from anywhere to be born here. I was here all along, and I will be here all along.

I simply came from a past cause to a present effect. It wasn't me who came at this time; it was the karmic consequences of the past that caused me to connect to the present. I don't go anywhere when I die. I simply go from a present cause to a future effect.

나는 여기서 태어나기 위해 어딘가에서 온 것이 아니다. 나는 항상 여기에 있었고, 앞으로도 계속 여기에 있을 것이다.

나는 단지 과거의 원인에서 현재의 결과로 왔을 뿐이다. 

과거의 업보적 결과가 나를 현재와 연결해 주었을뿐이다. 

나는 죽어서 어디에도 가지 않는다. 단지 현재의 원인에서 미래의 결과로 갈 뿐이다.

Sunday, August 3, 2025

공 (sunyata, 空)

In Buddhism, Sunyata (Śūnyatā), often translated as emptiness or voidness, is a central concept that signifies the absence of inherent existence or self-nature in all phenomena. It's not about nothingness, but rather the understanding that things exist in relation to other things, and that nothing possesses an independent, unchanging essence. 

공 (sunyata, 空) has the following universal characteristics:

1. 무상 (無常, Impermanence)—Everything changes. The person you were a moment ago is different from the person you are now.

2. 무아 (無我, No Self)—There is nothing that can be called an independent you.

3. 연기 (緣起, Dependent Origination)—Every phenomenon is a result of causation.

"무자성공(無自性空)"은 불교 용어로, "자성이 없다"는 뜻의 "무자성(無自性)"과 "비어 있음"을 뜻하는 "공(空)"이 결합된 용어이다. 이는 모든 존재가 고정된 실체나 고유한 성질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즉, 모든 것은 인연에 따라 생겨나고 사라지는 변화하는 존재이며, 스스로 존재하는 고정된 실체는 없다는 뜻이다. 

"無自性空" is a Buddhist term, combining "無自性" meaning "without self-nature" and "空" meaning "emptiness." It implies that all existence lacks a fixed substance or inherent nature. In other words, all things are volatile, arising and disappearing according to causal relationships, and there is no fixed entity that exists on its own.


過去心不可得 (과거심불가득). 
現在心不可得 (현재심불가득). 
未來心不可得 (미래심불가득). 

Monday, July 21, 2025

By oneself is evil done, by oneself is one defiled. By oneself is evil left undone, by oneself is one purified. Purity and impurity depend on oneself—no one can purify another. -Dhammapada 165

스스로 악을 행하면 스스로 더러워지고, 스스로 선을 행하면 스스로 깨끗해진다. 깨끗하고 더러움은 모두 자신에게 달린 것이며, 아무도 남을 깨끗하게 해줄 수 없다. - 법구경 165

삼조승찬대사(三祖僧璨大師)의 신심명(信心銘) 1, 2 장

至道無難 (지도무난) 지극한 도는 어렵지 않으나 唯嫌揀擇 (유혐간택) 오직 간택함을 꺼릴뿐이다. 깨달음의 길, 즉 진리는 결코 어렵거나 힘든 것이 아니다. 다만 무언가를 가려 선택하려는 마음, 분별하고 잣대를 들이대는 마음이 문제일 뿐이다. The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