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at is your name? (Who are you?)
Now Milinda the king went up to where the venerable Nâgasena was, and addressed him with the greetings and compliments of friendship and courtesy, and took his seat respectfully apart. And Nâgasena reciprocated his courtesy, so that the heart of the king was propitiated.
And Milinda began by asking, 'How is your Reverence known, and what, Sir, is your name?'
'I am known as Nâgasena, O king, and it is by that name that my brethren in the faith address me. But although parents, O king, give such a name as Nâgasena, or Sûrasena, or Vîrasena, or Sîhasena, yet this, Sire,--Nâgasena and so on--is only a generally understood term, a designation in common use. For there is no permanent individuality (no soul) involved in the matter.'
Then Milinda called upon the Yonakas and the brethren to witness: 'This Nâgasena says there is no permanent individuality (no soul) implied in his name. Is it now even possible to approve him in that?' And turning to Nâgasena, he said: 'If, most reverend Nâgasena, there be no permanent individuality (no soul) involved in the matter, who is it, pray, who gives to you members of the Order your robes and food and lodging and necessaries for the sick? Who is it who enjoys such things when given? Who is it who lives a life of righteousness? Who is it who devotes himself to meditation? Who is it who attains to the goal of the Excellent Way, to the Nirvâna of Arahatship? And who is it who destroys living creatures? who is it who takes what is not his own? who is it who lives an evil life of worldly lusts, who speaks lies, who drinks strong drink, who (in a word) commits any one of the five sins which work out their bitter fruit even in this life? If that be so there is neither merit nor demerit; there is neither doer nor causer of good or evil deeds; there is neither fruit nor result of good or evil Karma. --If, most reverend Nâgasena, we are to think that were a man to kill you there would be no murder 1, then it follows that there are no real masters or teachers in your Order, and that your ordinations are void.--You tell me that your brethren in the Order are in the habit of addressing you as Nâgasena. Now what is that Nâgasena?
Do you mean to say that the hair is Nâgasena?'
'I don't say that, great king.'
'Or the hairs on the body, perhaps?'
'Certainly not.'
'Or is it the nails, the teeth, the skin, the flesh, the nerves, the bones, the marrow, the kidneys, the heart, the liver, the abdomen, the spleen, the lungs, the larger intestines, the lower intestines, the stomach, the fæces, the bile, the phlegm, the pus, the blood, the sweat, the fat, the tears, the serum, the saliva, the mucus, the oil that lubricates the joints, the urine, or the brain, or any or all of these, that is Nâgasena?'
And to each of these he answered no.
'Is it the outward form then (Rûpa) that is Nâgasena, or the sensations (Vedanâ), or the ideas (Saññâ), or the confections (the constituent elements of character, Samkhârâ), or the consciousness (Vigññâna), that is Nâgasena?'
And to each of these also he answered no.
'Then is it all these Skandhas combined that are Nâgasena?'
'No! great king.'
'But is there anything outside the five Skandhas that is Nâgasena?'
And still he answered no.
'Then thus, ask as I may, I can discover no Nâgasena. Nâgasena is a mere empty sound. Who then is the Nâgasena that we see before us? It is a falsehood that your reverence has spoken, an untruth!'
And the venerable Nâgasena said to Milinda the king: 'You, Sire, have been brought up in great luxury, as beseems your noble birth. If you were to walk this dry weather on the hot and sandy ground, trampling under foot the gritty, gravelly grains of the hard sand, your feet would hurt you. And as your body would be in pain, your mind would be disturbed, and you would experience a sense of bodily suffering. How then did you come, on foot, or in a chariot?'
'I did not come, Sir, on foot. I came in a carriage.'
'Then if you came, Sire, in a carriage, explain to me what that is. Is it the pole that is the chariot?'
'I did not say that.'
'Is it the axle that is the chariot?'
'Certainly not.'
'Is it the wheels, or the framework, or the ropes, or the yoke, or the spokes of the wheels, or the goad, that are the chariot?'
And to all these he still answered no.
'Then is it all these parts of it that are the chariot?'
'No, Sir.'
'But is there anything outside them that is the chariot?'
And still he answered no.
'Then thus, ask as I may, I can discover no chariot. Chariot is a mere empty sound. What then is the chariot you say you came in? It is a falsehood that your Majesty has spoken, an untruth! There is no such thing as a chariot! You are king over all India, a mighty monarch. Of whom then are you afraid that you speak untruth? And he called upon the Yonakas and the brethren to witness, saying: 'Milinda the king here has said that he came by carriage. But when asked in that case to explain what the carriage was, he is unable to establish what he averred. Is it, forsooth, possible to approve him in that?'
When he had thus spoken the five hundred Yonakas shouted their applause, and said to the king: Now let your Majesty get out of that if you can?'
And Milinda the king replied to Nâgasena, and said: 'I have spoken no untruth, reverend Sir. It is on account of its having all these things--the pole, and the axle, the wheels, and the framework, the ropes, the yoke, the spokes, and the goad--that it comes under the generally understood term, the designation in common use, of "chariot."'
'Very good! Your Majesty has rightly grasped the meaning of "chariot." And just even so it is on account of all those things you questioned me about--the thirty-two kinds of organic matter in a human body, and the five constituent elements of being--that I come under the generally understood term, the designation in common use, of "Nâgasena."
For it was said, Sire, by our Sister Vagirâ in the presence of the Blessed One:
'"Just as it is by the condition precedent of the co-existence of its various parts that the word 'chariot' is used, just so is it that when the Skandhas are there we talk of a 'being.'"'
"여러부분의 결합으로 인해
'마차'라는 명칭이 있듯이
오온이 존재할때
'사람'이란 이름이 있네."
'Most wonderful, Nâgasena, and most strange. Well has the puzzle put to you, most difficult though it was, been solved. Were the Buddha himself here he would approve your answer. Well done, well done, Nâgasena!'
----------------------------------------------------
Rebirth, Reincarnation, Transmigration - 윤회
The king said: 'He who is born, Nâgasena, does he remain the same or become another?'
'Neither the same nor another.'
'Give me an illustration.'
'Now what do you think, O king? You were once a baby, a tender thing, and small in size, lying flat on your back. Was that the same as you who are now grown up?'
'No. That child was one, I am another.'
'If you are not that child, it will follow that you have had neither mother nor father, no! nor teacher. You cannot have been taught either learning, or behaviour, or wisdom.
What, great king! is the mother of the embryo in the first stage different from the mother of the embryo in the second stage, or the third, or the fourth? Is the mother of the baby a different person from the mother of the grown-up man?
Is the person who goes to school one, and the same when he has finished his schooling another? Is it one who commits a crime, another who is punished by having his hands or feet cut off?'
'Certainly not. But what would you, Sir, say to that? '
The Elder replied: 'I should say that I am the same person, now I am grown up, as I was when I was a tender tiny baby, flat on my back. For all these states are included in one by means of this body.'
'Give me an illustration.'
'Suppose a man, O king, were to light a lamp, would it burn the night through?'
'Yes, it might do so.'
'Now, is it the same flame that burns in the first watch of the night, Sir, and in the second?'
'No.'
'Or the same that burns in the second watch and in the third?'
'No.'
'Then is there one lamp in the first watch, and another in the second, and another in the third?'
'No. The light comes from the same lamp all the night through.'
'Just so, O king, is the continuity of a person or thing maintained. One comes into being, another passes away; and the rebirth is, as it were, simultaneous. Thus neither as the same nor as another does a man go on to the last phase of his self-consciousness.'
'Give me a further illustration.'
'It is like milk, which when once taken from the cow, turns, after a lapse of time, first to curds, and then from curds to butter, and then from butter to ghee. Now would it be right to say that the milk was the same thing as the curds, or the butter, or the ghee?'
'Certainly not; but they are produced out of it.'
'Just so, O king, is the continuity of a person or thing maintained. One comes into being, another passes away; and the rebirth is, as it were, simultaneous. Thus neither as the same nor as another does a man go on to the last phase of his self-consciousness.'
'Well put, Nâgasena!'
-------------------------------------------------------
The king said: 'What is the root, Nâgasena, of past time, and what of present, and what of future time?'
나가세나, 과거 시간의 근원은 무엇이며, 현재 시간의 근원은 무엇이고, 미래 시간의 근원은 무엇입니까?
'Ignorance(무명). By reason of Ignorance came the Confections, by reason of the Confections consciousness, by reason of consciousness name-and-form, by reason of name-and-form the six organs of sense, by reason of them contact, by reason of contact sensation, by reason of sensation thirst, by reason of thirst craving, by reason of craving becoming, by reason of becoming birth, by reason of birth old age and death, grief, lamentation, sorrow, pain, and despair. Thus is it that the ultimate point in the past of all this time is not apparent.'
'무명. 무명으로 인해 과(果)가 생겼고, 과(果)로 인해 의식이 생겼고, 의식으로 인해 명색이 생겼고, 명색으로 인해 육감(六感)이 생겼고, 그 과(果)로 인해 접촉(contact)이 생겼고, 접촉으로 인해 감각(feeling)이 생겼고, 감각으로 인해 갈증(desire/lust)이 생겼고, 갈증으로 인해 갈애(clinging)가 생겼고, 갈애로 인해 존재(becoming birth))가 생겼고, 존재로 인해 태어남(birth)이 생겼고, 태어남으로 인해 늙음(aging)과 죽음(death), 슬픔, 비탄, 근심, 고통, 절망 (all suffering)이 생겼습니다. 이처럼 이 모든 시간의 과거에서 궁극적인 지점은 분명하지 않습니다.'
'You are ready, Nâgasena, in reply!
____________________
The king said: 'You say that the ultimate point of time is not apparent. Give me an illustration of that.'
당신은 시간의 궁극적인 시초는 명확하지 않다고 말씀하셨는데, 그에 대한 예를 하나 들어 보시죠.
'Suppose, O king, a man were to plant in the ground a tiny seed, and that it were to come up as a shoot, and in due course grow, develope, and mature until it produced a fruit. And then the man, taking a seed from that fruit, were again to plant it in the ground, and all should happen as before. Now would there be any end to this series?'
"왕이시여, 어떤 사람이 땅에 작은 씨앗 하나를 심었는데, 그 씨앗이 싹을 틔우고, 때가 되어 자라나 성숙하여 열매를 맺는다고 가정해 봅시다. 그리고 그 사람이 그 열매에서 씨앗을 하나 따서 다시 땅에 심으면, 모든 일이 전과 같이 진행될 것입니다. 자, 이 일련의 과정이 끝날 수 있을까요?"
Certainly not, Sir.'
'Just so, O king, the ultimate point in the past of the whole of this time is not apparent.'
'왕이시여, 이와 마찬가지로 이 시간 시초는 분명하지 않습니다.'
'Give me a further illustration.'
'The hen lays an egg. From the egg comes a hen. From the hen an egg. Is there any end to this series?'
'No.'
'Just so, O king, the ultimate point in the past of the whole of this time is not apparent.'
'Give me a further illustration.'
Then the Elder drew a circle on the ground and asked the king: 'Is there any end to this circle?'
'No, it has no end.'
Well, that is like those circles spoken of by the Blessed One. "By reason of the eye and of forms there arises sight, when these three come together there is touch, by reason of touch sensation, by reason of sensation a longing (Tanhâ, thirst), by reason of the longing action (Karma), and from action eye is once more produced." Now is there any end to this series
'No.'
Then setting out a precisely corresponding circle of each of the other organs of sense (of the ear, nose, tongue, body, and mind), he in each case put the same question. And the reply was always the same, he concluded:
'Just so, O king, the ultimate point of time in the past is not apparent.'
'You are ready, Nâgasena, in reply.'
____________________
Karma 업
The king said: 'Are the five Âyatanas, Nâgasena, (eye, ear, nose, tongue, and body,) produced by various actions, or by one action?' (that is, the result of various Karmas, or of one Karma.)
'By various actions, not by one.'
'Give me an illustration.'
'Now, what do you think, O king? If I were to sow in one field five kinds of seed, would the produce of those various seeds be of different kinds?'
'Yes, certainly.'
'Well, just so with respect to the production of Âyatanas.'
'Very good, Nâgasena!'
____________________
The king said: 'Why is it, Nâgasena, that all men are not alike, but some are short-lived and some long-lived, some sickly and some healthy, some ugly and some beautiful, some without influence and some of great power, some poor and some wealthy, some low born and some high born, some stupid and somewise?'
'나가세나, 왜 모든 사람이 똑같지 않고, 어떤 사람은 수명이 짧고 어떤 사람은 장수하며, 어떤 사람은 병들고 어떤 사람은 건강하며, 어떤 사람은 추하고 어떤 사람은 아름다우며, 어떤 사람은 영향력이 없고 어떤 사람은 권력이 강하며, 어떤 사람은 가난하고 어떤 사람은 부유하며, 어떤 사람은 천한 신분이고 어떤 사람은 고귀하며, 어떤 사람은 어리석고 어떤 사람은 현명합니까?'
The Elder replied: 'Why is it that all vegetables are not alike, but some sour, and some salt, and some pungent, and some acid, and some astringent, and some sweet?'
'I fancy, Sir, it is because they come from different kinds of seeds.'
'And just so, great king, are the differences you have mentioned among men to be explained.
For it has been said by the Blessed One:
"Beings, O brahmin, have each their own Karma, are inheritors of Karma, belong to the tribe of their Karma, are relatives by Karma, have each their Karma as their protecting overlord. It is Karma that divides them up into low and high and the like divisions."'
"모든 존재는 제각기 자신의 업을 갖고 그것을 이어 가는 것이다. 업을 모체로 하고, 업을 친족으로 삼고, 업에 의지하고 산다. 모든존재는 업에 의해 천하게 귀하게 나뉘는 것이다."
'Very good, Nâgasena!'
____________________
The king said: 'You told me, Nâgasena, that your renunciation was to the end that this sorrow might perish away, and no further sorrow might spring up.'
'Yes, that is so.'
'But is that renunciation brought about by previous effort, or to be striving after now, in this present time?'
The Elder replied: 'Effort is now concerned with what still remains to be done, and the former effort has accomplished what it had to do.'
'Give me an illustration.'
'Now what do you think, O king? Is it when you feel thirst that you would set to work to have a well or an artificial lake dug out, with the intention of getting some water to drink?'
'Certainly not, Sir.'
'Just so, great king, is effort concerned now with what still remains to be done, the former effort has accomplished what it had to do.'
'Give me a further illustration.'
'Now what do you think, O king? Is it when you feel hungry that you set to work to have fields ploughed and seed planted and crops reaped with the intention of getting some food to eat?'
'Certainly not, Sir.'
'Just so, great king, is effort concerned now with what still remains to be done, the former effort has accomplished what it had to do.'
'Give me a further illustration.'
'Now what do you think, O king? Is it when the battle is set in an array against you that you set to work to have a moat dug, and a rampart put up, and a watch tower built, and a stronghold formed, and stores of food collected? Is it then that you would have yourself taught the management of elephants, or horsemanship, or the use of the chariot and the bow, or the art of fencing?'
'Certainly not, Sir.'
'Just so, great king, is effort concerned now with what still remains to be done, former effort has accomplished what it had to do. For it has been thus said, O king, by the Blessed One:
"Betimes let each wise man work out
That which he sees to be his weal!
Not with the carter's mode of thought, but firm
Let him, with resolution, step right out.
As a carter who has left the smooth high road,
And turned to byways rough, broods ill at ease --
(Like him who hazards all at dice, and fails)--
So the weak mind who still neglects the good,
And follows after evil, grieves at heart,
When fallen into the power of death, as he,
The ruined gamester, in his hour of need ."
'Very good, Nâgasena.
____________________
The king said: 'You (Buddhists) say thus: "The fire of purgatory is very much more fierce than an ordinary fire. A small stone cast into an ordinary fire may smoke for a day without being destroyed; but a rock as big as an upper chamber cast into the furnace of purgatory would be that moment destroyed." That is a statement I cannot believe. Now, on the other hand you say thus: "Whatsoever beings are there reborn, though they burn for hundreds of thousands of years in purgatory, yet are they not destroyed." That too is a statement I don't believe.'
The Elder said: 'Now what do you think, O king? Do not the females of sharks and crocodiles and tortoises and peacocks and pigeons eat hard bits of stone and gravel?'
'Yes, Sir. They do.'
'What then? Are these hard things, when they have got into the stomach, into the interior of the abdomen, destroyed?'
'Yes, they are destroyed.'
'And the embryo that may be inside the same animals,--is that too destroyed?'
'Certainly not.'
'But why not.'
'I suppose, Sir, it escapes destruction by the influence of Karma.'
'Just so, great king, it is through the influence of Karma that beings, though they have been for thousands of years in purgatory, are not destroyed. If they are reborn there, there do they grow up, and there do they die. For this, O king, has been declared by the Blessed One: "He does not die until that evil Karma is exhausted."
'Give me a further illustration.'
'Now what do you think, O king? Do not the females of lions and tigers and panthers and dogs eat hard bits of bone and flesh?'
'Yes, they eat such things.'
'What then? are such hard things, when they have got into the stomach, into the interior of the abdomen, destroyed?'
'Yes, they are destroyed?'
'And the embryo that may be inside the same animals,--is that too destroyed?'
'Certainly not.'
'But why not?'
'I suppose, Sir, it escapes destruction by the influence of Karma.'
'Just so, great king, it is by the influence of Karma that beings in purgatory, though they burn for thousands of years, are not destroyed.'
'Give me a further illustration.'
'Now what do you think, O king? Do not the tender women--wives of the Yonakas, and nobles, and brahmins, and householders--eat hard cakes and meat.
'Yes, they eat such hard things.'
'And when those hard things have got into the stomach, into the interior of the abdomen, are not they destroyed?'
'Yes, they are.'
'But the children in their womb,--are they destroyed?'
'Certainly not.'
'And why not?'
'I suppose, Sir, they escape destruction by the influence of Karma?'
'Just so, great king, it is through the influence of Karma that beings in purgatory, though they burn for thousands of years, yet are they not destroyed, If they are reborn there, there do they grow up, and there do they die. For this, O king, has been declared by the Blessed One: "He does not die until that evil Karma is exhausted."'
'Very good, Nâgasena!'
____________________
The king said: 'Venerable Nâgasena, your people say that the world rests on water, the water on air, the air on space. This saying also I cannot believe.'
Then the Elder brought water in a regulation water-pot, and convinced king Milinda, saying: 'As this water is supported by the atmosphere, so is that water supported by air.'
'Very good, Nâgasena!'
____________________
The king said: 'Is the cessation, Nirvâna?
'Yes, your Majesty'.
'How is, that, Nâgasena?'
'All foolish individuals, O king, take pleasure in the senses and in the objects of sense, find delight in them, continue to cleave to them. Hence are they carried down by that flood (of human passions), they are not set free from birth, old age, and death, from grief, lamentation, pain, sorrow, and despair,--they are not set free, I say, from suffering. But the wise, O king, the disciple of the noble ones, neither takes pleasure in those things, nor finds delight in them, nor continues cleaving to them. And inasmuch as he does not, in him craving ceases, and by the cessation of craving grasping ceases, and by the cessation of grasping becoming ceases, and when becoming has ceased birth ceases, and with its cessation birth, old age, and death, grief, lamentation, pain, sorrow, and despair cease to exist. Thus is the cessation brought about the end of all that aggregation of pain. Thus is it that cessation is Nirvâna.'
'Very good, Nâgasena!'
____________________
The king said: 'Venerable Nâgasena, do all men receive Nirvâna?'
'Not all, O king. But he who walks righteously, who admits those conditions which ought to be admitted, perceives clearly those conditions which ought to be clearly perceived, abandons those conditions which ought to be abandoned, practises himself in those conditions which ought to be practised, realises those conditions which ought to be realised--he receives Nirvâna.'
'Very good, Nâgasena!'
The king said: 'Venerable Nâgasena, does he who does not receive Nirvâna know how happy a state Nirvâna is?'
'Yes, he knows it.'
'But how can he know that without his receiving Nirvâna?'
'Now what do you think, O king? Do those whose hands and feet have not been cut off know how sad a thing it is to have them cut off?'
'Yes, Sir, that they know.'
'But how do they know it?'
'Well, by hearing the sound of the lamentation of those whose hands and feet have been cut off, they know it.'
'Just so, great king, it is by hearing the glad words of those who have seen Nirvâna, that they who have not received it know how happy a state it is.'
'Very good, Nâgasena!'
____________________
Buddha
The king said: 'Have you, Nâgasena, seen the Buddha?'
'No, Sire.'
'Then have your teachers seen the Buddha?'
'No, Sire.'
'Then, venerable Nâgasena, there is no Buddha!'
'But, great king, have you seen the river Ûhâ in the Himâlaya mountains?'
'No, Sir.'
'Or has your father seen it?'
'No, Sir.'
'Then, your Majesty, is there therefore no such river?'
'It is there. Though neither I nor my father has seen it, it is nevertheless there.'
'Just so, great king, though neither I nor my teachers have seen the Blessed One, nevertheless there was such a person.'
'Very good, Nâgasena!'
____________________
The king said: 'Is the Buddha, Nâgasena, pre-eminent?'
'Yes, he is incomparable.'
'But how do you know of one you have never seen that he is pre-eminent.'
'Now what do you think, O king? They who have never seen the ocean would they know concerning it: "Deep, unmeasurable, unfathomable is the mighty ocean. Into it, the five great rivers flow--the Ganges, the Jumna, the Akiravatî, the Sarabhû, and the Mahî--and yet is there in it no appearance of being more empty or more full!"?'
'Yes, they would know that.'
'Just so, great king, when I think of the mighty disciples who have passed away then do I know that the Buddha is incomparable.'
'Very good, Nâgasena!'
____________________
The king said: 'Is it possible, Nâgasena, for others to know how incomparable the Buddha is?'
'Yes, they may know it.'
'But how can they?'
'Long, long ago, O king, there was a master of writing, by name Tissa the Elder, and many are the years gone by since he has died. How can people know of him?'
'By his writing, Sir.'
'Just so, great king, whosoever sees what the Truth is, he sees what the Blessed One was, for the Truth was preached by the Blessed One.'
'Very good, Nâgasena!'
____________________
The king said: 'Have you, Nâgasena, seen what the Truth is?'
'Have we not disciples, O king, to conduct ourselves our lives long as under the eye of the Buddha, and under his command?'
'Very good, Nâgasena!'
The king said: 'Where there is no transmigration, Nâgasena, can there be rebirth?'
'Yes, there can.'
'But how can that be? Give me an illustration.'
'Suppose a man, O king, were to light a lamp from another lamp, can it be said that the one transmigrates from, or to, the other?'
'Certainly not.'
'Just so, a great king, is rebirth without transmigration.'
'Give me a further illustration.'
'Do you recollect, great king, having learnt, when you were a boy, some verse or other from your teacher?'
'Yes, I recollect that.'
'Well then, did that verse transmigrate from your teacher?'
'Certainly not.'
'Just so, a great king, is rebirth without transmigration.'
'Very good, Nâgasena!'
____________________
The king said: 'Is there such a thing Nâgasena, as the soul?'
'In the highest sense, O king, there is no such thing.'
'Very good, Nâgasena!'
____________________
The king said: 'Is there any being, Nâgasena, who transmigrates from this body to another?'
'No, there is not.'
'But if so, would it not get free from its evil deeds.'
'Yes, if it were not reborn; but if it were, no.'
'Give me an illustration.'
'Suppose, O king, a man were to steal another man's mangoes, would the thief deserve punishment?'
'Yes.'
'But he would not have stolen the mangoes the other set in the ground. Why would he deserve punishment?'
'Because those he stole were the result of those that were planted.'
'Just so, great king, this name-and-form commits deeds, either pure or impure, and by that Karma another name-and-form is reborn. And therefore is it not set free from its evil deeds?'
'Very good, Nâgasena!'
____________________
The king said: 'When deeds are committed, Nâgasena, by one name-and-form, what becomes of those deeds?'
'The deeds would follow it, O king, like a shadow that never leaves it.'
'Can any one point out those deeds, saying: "Here are those deeds, or there"?'
'No.'
'Give me an illustration.'
'Now what do you think, O king? Can any one point out the fruits which a tree has not yet produced, saying: "Here they are, or there"?'
'Certainly not, Sir.'
'Just so, great king, so long as the continuity of life is not cut off, it is impossible to point out the deeds that are done.'
'Very good, Nâgasena!'
____________________
The king said: 'Does he, Nâgasena, who is about to be reborn know that he will be born?'
'Yes, he knows it, O king.'
'Give me an illustration.'
'Suppose a farmer, O king, a householder, were to put seed in the ground, and it were to rain well, would he know that a crop would be produced.'
'Yes, he would know that.'
'Just so, great king, does he who is about to be reborn know that he will be born.'
'Very good, Nâgasena!'
____________________
The king said: 'Is there such a person as the Buddha, Nâgasena?'
'Yes.'
'Can he then, Nâgasena, be pointed out as being here or there?'
'The Blessed One, O king, has passed away by that kind of passing away in which nothing remains which could tend to the formation of another individual. It is not possible to point out the Blessed One as being here or there.'
'Give me an illustration.'
'Now what do you think, O king? When there is a great body of fire blazing, is it possible to point out any one flame that has gone out, that it is here or there?'
'No, Sir. That flame has ceased, it has vanished.'
'Just so, great king, has the Blessed One passed away by that kind of passing away in which no root remains for the formation of another individual. The Blessed One has come to an end, and it cannot be pointed out of him, that he is here or there. But in the body of his doctrine he can, O king, be pointed out. For the doctrine was preached by the Blessed One?'
'Very good, Nâgasena!'
____________________
The king said: 'Is the body, Nâgasena, dear to you recluses?'
'No, they love not the body.'
'Then why do you nourish it and lavish attention upon it?'
'In all the times and places, O king, that you have gone down to battle, did you never get wounded by an arrow?'
'Yes, that has happened to me.'
'In such cases, O king, is not the wound anointed with salve, and smeared with oil, and bound up in a bandage.'
'Yes, such things are done to it.'
'What then? Is the wound dear to you that you treat it so tenderly, and lavish such attention upon it?'
'No, it is not dear to me in spite of all that, which is only done that the flesh may grow again.'
'Just so, great king, with the recluses and the body. Without cleaving to it do they bear about the body for the sake of righteousness of life. The body, O king, has been declared by the Blessed One to be like a wound. And therefore merely as a sore, and without cleaving to it, do the recluses bear about the, body. For it has been said by the Blessed One: "Covered with clammy skin, an impure thing and foul, nine-apertured, it oozes, like a sore."'
'Well answered, Nâgasena!'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The king said: 'Did the Buddha, Nâgasena, the omniscient one, foresee all things?'
'Yes. The Blessed One was not only omniscient. He foresaw all things.'
'Then why was it that he was in the habit only from time to time, and as occasion arose, of laying down rules for the members of the Order?'
'Is there any physician, O king, who knows all the medicinal drugs to be found on the earth?'
'Yes, there may be such a man.'
'Well, O king, does he give his decoctions to the patient to drink at a time when illness has already set in, or before that?'
'When the malady has arisen.'
'Just so, great king, the Blessed One, though he was omniscient and foresaw all things, laid down no rule at an unseasonable time, but only when need arose did he establish a regulation which his disciples were not to transgress as long as they lived.'
'Well answered, Nâgasena!'
____________________
The king said: 'Is it true, Nâgasena, that the Buddha was endowed with the thirty-two bodily marks of a great man, and graced with the eighty subsidiary characteristics; that he was golden in colour with a skin like gold, and that there spread around him a glorious halo of a fathom's length?'
'Such, O king, was the Blessed One.'
'But were his parents like that?'
'No, they were not.'
'In that case you must say that he was born so. But surely a son is either like his mother, or those on the mother's side, or he is like his father, or those on the father's side!'
The Elder replied: 'Is there such a thing, O king, as a lotus flower with a hundred petals?'
'Yes, there is.'
'Where does it grow up?'
'It is produced in mud, and in water it comes to perfection.'
'But does the lotus resemble the mud of the lake, whence it springs up, either in colour, or in smell, or in taste?'
'Certainly not.'
'Then does it resemble the water?'
'Nor that either.'
'Just so, great king, is it that the Blessed One had the bodily signs and marks you have mentioned, though his parents had them not.'
'Well answered, Nâgasena!'
____________________
The king said: 'Was the Buddha, Nâgasena, pure in conduct (was he a Brahma-kârin)?'
'Yes, the Blessed One was pure.'
'Then, Nâgasena, it follows that he was a follower of Brahmâ.'
'Have you a state elephant, O king?'
'Certainly.'
'Well now, does that elephant ever trumpet (literally "cry the heron's cry ")?'
'Oh, yes.'
'But is he, then, on that account a follower of the herons?'
'Of course not.'
'Now tell me, great king, has Brahma wisdom (Buddhi), or has he not?'
'He is a being with wisdom.'
'Then (on your argument) he is surely a follower of Buddha.'
'Well answered, Nâgasena!'
____________________
The king said: 'Is ordination a good thing?'
'Yes, a good thing and beautiful.'
'But did the Buddha obtain it, or not?'
'Great king, when the Blessed One attained omniscience at the foot of the tree of Knowledge, that was to him an ordination. There was no conferring of ordination upon him at the hands of others--in the way that the Blessed One laid down regulations for his disciples, never to be transgressed by them their lives long!'
'Very true, Nâgasena!'
The king said: 'To which of these two, Nâgasena,--the man who weeps at the death of his mother, and the man who weeps out of love for the Truth (Dhamma),--are his tears a cure?'
'The tears of the one, O king, are stained and hot with the three fires of passion. The tears of the other are stainless and cool. Now there is cure in coolness and calm, but in heat and passion there can be no cure.'
'Very good, Nâgasena!'
____________________
The king said: 'What is the distinction, Nâgasena, between him who is full of passion, and him who is void of passion?'
'The one is overpowered by craving, O king, and the other not.'
'But what does that mean?'
'The one is in want, O king, and the other not.'
'I look at it, Sir, in this way. He who has passion and he who has not--both of them alike--desire what is good to eat, either hard or soft. And neither of them desires what is wrong.'
'The lustful man, O king, in eating his food enjoys both the taste and the lust that arises from taste, but the man free from lust experiences the taste only, and not the lust arising therefrom.'
'Well answered, Nâgasena!'
The king said: 'Venerable Nâgasena, where does wisdom dwell?'
'Nowhere, O king.'
'Then, Sir, there is no such thing as wisdom.'
'Where does the wind dwell, O king?'
'Not anywhere, Sir.'
'So there is no such thing as wind.'
'Well answered, Nâgasena!'
____________________
The king said: 'When you speak of transmigration, Nâgasena, what does that mean?'
'A being born here, O king, dies here. Having died here, it springs up elsewhere. Having been born there, there it dies. Having died there, it springs up elsewhere. That is what is meant by transmigration.'
'Give me an illustration.'
'It is like the case of a man who, after eating a mango, should set the seed in the ground. From that a great tree would be produced and given fruit. And there would be no end to the succession, in that way, of mango trees.'
'Very good, Nâgasena!'
____________________
The king said: 'By what, Nâgasena, does one recollect what is past and done long ago?'
'By memory.'
'But is it not by the mind, not by the memory, that we recollect?'
'Do you recollect any business, O king, that you have done and then forgotten?'
'Yes.'
'What then? Were you then without a mind?'
'No. But my memory failed me.'
'Then why do you say that it is by the mind, not by the memory, that we recollect?'
'Very good, Nâgasena'
___________________
The king said: 'Does memory, Nâgasena, always arise subjectively, or is it stirred up by suggestion from outside?'
'Both one and the other.'
'But does not that amount to all memory being subjective in origin, and never artificial?'
'If, O king, there were no artificial (imparted) memory, then artisans would have no need of practice, or art, or schooling, and teachers would be useless. But the contrary is the case.'
'Very good, Nâgasena!'
-------------------------------------
THE MURDER OF MOGGALLÂNA
'Venerable Nâgasena, it has been said by the Blessed One: "This is the chief, O Bhikkhus, of those of my disciples in the Order who are possessed of the power of Iddhi, I mean Moggallâna ."
But on the other hand they say his death took place by his being beaten to death with clubs, so that his skull was broken, and his bones ground to powder, and all his flesh and nerves bruised and pounded together.
Now, Nâgasena, if the Elder, the great Moggallâna, had really attained supremacy in the magical power of Iddhi, then it cannot be true that he was beaten to death with clubs. But if his death was on that wise, then the saying that he was chief of those possessed of Iddhi must be wrong.
How could he who was not even able, by his power of Iddhi, to prevent his own murder, be worthy nevertheless to stand as succour to the world of gods and men? This too is a double-edged problem now put to you, and you have to solve it.'
'The Blessed One did declare, O king, that Moggallâna was chief among the disciples in power of Iddhi. And he was nevertheless beaten to death by clubs. But that was through his being then possessed by the still greater power of Karma.'
'But, venerable Nâgasena, are not both of these things appurtenant to him who has the power of Iddhi--that is the extent of his power, and the result of his Karma--both alike unthinkable? And cannot the unthinkable be held back by the unthinkable? Just, Sir, as those who want the fruits will knock a wood apple down with a wood apple, or a mango with a mango, so ought not the unthinkable in like manner to be subject to restraint by the unthinkable?'
'Even among things beyond the reach of the imagination, great king, still one is in excess above the other, one more powerful than the other. Just, O king, as the monarchs of the world are alike in kind, but among them, so alike in kind, one may overcome the rest, and bring them under his command--just so among things beyond the grasp of the imagination is the productive effect of Karma by far the most powerful.
It is precisely the effect of Karma which overcomes all the rest, and has them under its rule; and no other influence is of any avail to the man in whom Karma is working out its inevitable end.
It is as when, O king, any man has committed an offence against the law.
Neither his mother nor his father, neither his sisters nor his brother, neither his friends nor his intimate associates can protect him then. He has fallen therein under the power of the king who will issue his command respecting him. And why is that so? Because of the wrong that he has done.
So is it precisely the effect of Karma which overcomes all other influences, and has them under its command, and no other influence can avail the man in whom Karma is working out its inevitable end.
It is as if a jungle fire has arisen on the earth, then cannot even a thousand pots of water avail to put it out, but the conflagration overpowers all, and brings it under its control. And why is that so? Because of the fierceness of its heat. So is it precisely the effect of Karma which overcomes all other influences, and has them under its command; and no other influence can avail the man in whom Karma is working out its inevitable end.
That is why the venerable one, great king, the great Moggallâna, when, at a time when he was possessed by Karma, he was being beaten to death with clubs, was yet unable to make use of his power of Iddhi.'
'Very good, Nâgasena! That is so, and I accept it as you say.'
--------------------------------------------------------------
왕은 나선에게 물었다.
“대사의 이름은 무엇입니까?”
“부모님은 나를 나선이라고 이름을 지으셨습니다. 사람들도 나를 나선으로 부릅니다. 어느 때는 부모님이 나를 수나선(首那先)으로 부르게 하셨고, 어느 때는 부모님이 나를 유가선(維迦先)이라고 부르기도 하셨습니다. 이런 연유로 사람들은 다 나를 알게 됩니다. 사람들도 다 이 이름을 취합니다.”
“이 나선이라는 사람은 누구입니까?”
왕은 다시 물었다.
“머리가 나선입니까?
“나선이 아닙니다.”
“귀와 코와 입이 나선입니까?
“나선이 아닙니다.”
“턱과 목과 어깨와 팔과 손과 발이 나선입니까?”
“나선이 아닙니다.”
“넓적다리와 정강이가 나선입니까?”
“나선이 아닙니다.”
“안색이 나선입니까?”
“나선이 아닙니다.”
“괴로움이나 즐거움이 나선입니까?”
“나선이 아닙니다.”
“선악이 나선입니까?”
“나선이 아닙니다.”
“몸이 나선입니까?”
“나선이 아닙니다.”
“간장과 허파와 심장과 비장과 창자와 위장이 나선입니까?”
“나선이 아닙니다.”
“안색이 나선입니까?”
“나선이 아닙니다.”
“고락과 선악과 몸과 마음이 합해진 것, 이것이 나선입니까?”
“나선이 아닙니다.”
“고락도 없고, 안색도 없고, 선악도 없고, 몸과 마음도 없는 것, 이 다섯 가지가 없는 것을 오히려 나선이라고 합니까?”
“나선이 아닙니다.”
왕은 다시 물었다.
“소리의 울림과 숨이 차서 헐떡거리는 것이 나선입니까?”
“나선이 아닙니다.”
“나선이라는 것은 무엇입니까?”
나선이 왕에게 물었다.
“어떤 것을 수레라고 합니까? 굴대를 수레라고 합니까?”
“굴대는 수레가 아닙니다.”
“바퀴통이 수레입니까?”
“바퀴통은 수레가 아닙니다.”
“바퀴살이 수레입니까?”
“수레가 아닙니다.”
“바퀴테가 수레입니까?”
“수레가 아닙니다.”
“끌채가 수레입니까?”
“수레가 아닙니다.”
“멍에가 수레입니까?”
“수레가 아닙니다.”
“가마가 수레입니까?”
“수레가 아닙니다.”
“덮개가 수레입니까?”
“수레가 아닙니다.”
“이 재목들을 모아서 하나로 붙이면 수레입니까?”
“수레가 아닙니다.”
“소리가 수레입니까?”
“수레가 아닙니다.”
“무엇이 수레입니까?”
왕은 말이 없었다. 나선이 말했다.
“부처님의 경전에서 말씀하시기를 이 여러 재목들을 합하여 써서 수레를 만듦으로 해서 수레가 되는 것이라고 하셨습니다. 사람도 또한 그와 같습니다. 머리와 얼굴과 눈과 귀와 코와 입과 목과 어깨와 팔과 뼈와 살과 손발과 허파와 간장과 심장과 신장과 비장과 창자와 위장과 안색과 소리의 울림과 숨이 헐떡거리는 것과 고락과 선악이 합해서 사람이 되는 것입니다.”
“과연 그렇습니다.”
왕이 다시 물었다.
“나선대사께서는 나와 함께 경에 대해서 논하고 도에 대해서 말할 수가 있겠습니까?”
“대왕께서 지혜 있는 자의 질문을 하면 대왕께 대답을 할 수 있을 것이나 왕으로서의 질문이나 어리석은 자로서의 질문을 하면 대답을 할 수 없을 것입니다.”
“지혜 있는 자의 질문과 왕으로서의 질문과 어리석은 자의 질문은 어떻게 다릅니까?”
“지혜 있는 자는 상대를 대할 때 서로 힐난하기도 하고, 서로 존중해서 말하기도 하고, 서로 하대해서 말하기도 합니다. 대화로 승부를 가릴 때에는 자기 스스로 그것을 압니다. 이것이 지혜 있는 자의 말입니다. 왕으로서의 말은 방자한 데가 있어서 그 말에 오류가 있어도 왕에게 하는 말처럼 하지 않으면 왕은 즉시 강제로 그를 벌합니다. 이것이 왕으로서의 말입니다. 어리석은 자의 말은 말이 길어도 스스로 알지 못하고, 말이 짧아도 알지 못합니다. 사리에 어긋나는 것을 써서 이길 뿐입니다. 이것이 어리석은 자의 말입니다.”
“지혜 있는 자의 말을 쓰기를 원합니다. 왕으로서나 어리석은 자의 말을 쓰기를 원치 않습니다. 나와 말하면서 왕이라는 생각을 갖지 마십시오. 여러 사문과 같이 말하는 것으로 여기시는 것이 마땅할 것이며, 여러 제자와 같이 말하는 것으로 여기시며, 우바새와 말하는 것으로 여기시며, 곁에서 명령을 받는 사람과 말하는 것으로 여기시는 것이 마땅할 것이며, 서로 깨달음을 위해서 하는 것으로 해야 마땅할 것입니다.”
“좋습니다.”
“나는 묻고 싶은 것이 있습니다.”
“대왕께서는 물으십시오.”
“나는 이미 물었습니다.”
“나는 이미 대답했습니다.”
“무슨 말로서 내게 대답 했습니까?”
“왕께서는 무슨 말로서 내게 물었습니까?”
“나는 물은 것이 없습니다.”
“나도 대답한 것이 없습니다.”
왕은 나선이 큰 지혜를 가진 인물임을 곧 알아차렸다. 왕이 말했다.
“내가 비로소 많은 질문을 할 수 있을 것 같도다. 날이 어두워지려고 하니 내일 나선을 청해서 궁중에서 서로 질문을 주고받는 것이 어떻겠는가?”
첨미리망군은 즉시 나선에게 말했다.
“날이 어두워지니 대왕께서는 환궁하셔야 합니다. 대왕께서는 내일 나선대사를 청하실 것입니다.”
나선은 좋다고 말했다. 왕은 곧 나선에게 예를 올리고 말을 돌려 궁으로 돌아갔는데 말 위에서도 나선에 대한 생각을 계속해서 했다. 다음날이 되자 첨미리망군과 신하들은 왕에게 말했다.
“나선대사를 청해야 하지 않겠습니까?”
“당연히 청해야 할 것이니라.”
“청할 때는 몇 분의 사문과 함께 오도록 해야 하지 않겠습니까?”
왕은 나선이 임의대로 몇 명의 사문과 함께 와도 좋다고 말했다. 간(慳)이라는 이름의 창고를 지키는 이가 왕에게 말했다.
“나선대사로 하여금 열 명의 사문과 함께 오도록 해야 좋을 것입니다.”
이와 같이 세 번을 말했다. 왕이 화를 내며 말했다.
“어찌하여 나선으로 하여금 열 명의 사문과 함께 오도록 하는가?”
왕이 말했다.
“너의 이름은 ‘간’인 것처럼 왕의 물건을 너의 물건처럼 아껴야 한다는 것을 잊지 않는 것은 좋다. 그러나 어찌하여 너는 내 뜻을 거역하는가? 벌을 받아야 마땅하지만 가히 불쌍히 여겨 너의 죄를 사해 주겠다. 내가 지금 국왕의 입장으로 사문에게 공양을 흡족히 못 올리겠는가?”
간은 몹시 두려워하며 다시는 말을 못하였다. 첨미리망군은 나선의 처소에 가서 예를 올린 후에 말했다.
“대왕께서 나선을 청하십니다.”
“대왕께서는 내가 몇 명의 사문과 함께 가도 좋다고 하셨는가?”
“나선대사께서 몇 분의 사문과 함께 오시든 마음대로 하라고 하셨습니다.”
나선은 곧 야화라(野羅) 등 80명의 사문과 함께 갔다. 첨미리망군은 성에 들어가려고 할 때 도중에 가면서 나선에게 물었다.
“어제 대왕께 말씀하실 때 ‘나선이란 없다’고 말씀하셨는데 왜 그렇습니까?”
나선은 첨미리망군에게 물었다.
“경은 나선이라는 자가 어디에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나는 천식(喘息)이 들고 나는 생명의 숨에 나선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사람의 숨이 한번 나갔다가 다시 들어오지 못하면 그 사람은 정녕 다시 살 수 있습니까?”
“숨이 나갔다가 다시 들어오지 못하면 그것을 정녕 죽음이라 합니다.”
“어떤 사람이 갈잎 피리를 불 때 숨을 내보내면 다시 들어오지 못합니다. 사람이 쇠로 단련한 큰 서까래를 갖고 크게 숨을 불어내면 한 번 분 숨은 다시 돌아옵니까?”
“다시 돌아오지 않습니다.”
“같은 숨인데 나갔다가 돌아오지 않는데도 이 사람은 어찌하여 죽지 않습니까?”
“숨이 헐떡거리는 사이의 일에 대해서는 나는 알지 못합니다. 원컨대 나선대사께서 우리들을 위하여 그 의문을 풀어주십시오.”
“헐떡거리는 숨은 다 몸속에서의 일입니다. 사람이 마음에 생각하는 바가 있어서 혀가 이 일을 말한다면 그것은 혀의 일인 것처럼 뜻에 의심되는 바가 있어서 마음이 이것을 생각한다면 이는 마음의 일인 것입니다. 각각 그 주인이 있으니 이를 허공과 같이 보면 나선은 없는 것입니다.”
첨미리망군은 마음의 의심이 풀렸다. 곧 우바새가 되어 오계(五戒)를 받았다. 나선은 곧 궁에 들어가서 왕이 있는 곳에 도착하여 전각에 올랐다. 왕은 앞으로 나와 나선에게 예를 올리고 물러났다. 나선은 즉시 자리에 앉았으며 80명의 사문도 함께 앉았다. 왕은 손수 맛있는 음식을 가져와서 나선 앞에 놓았다. 공양을 마치고 손 씻는 일도 끝냈다. 왕은 즉시 여러 사문 각자에게 여러 겹으로 접은 가사(袈裟) 한 벌과 가죽신 한 켤레씩을 하사하였다. 나선과 야화라에게는 각각 세 벌의 가사와 각각 한 켤레의 가죽신을 하사하였다. 왕은 나선과 야화라에게 말했다.
“열 분만 함께 머무시고 나머지 분들은 돌아가게 해주십시오.”
나선은 즉시 나머지 사문들을 돌려보내고 열 명만 함께 머물도록 했다. 왕은 후궁의 여러 귀인과 기녀들이 모두 어전으로 나와 휘장 뒤에서 왕이 나선과 경과 도에 대해서 서로 논하는 것을 듣도록 명령했다. 그때에 귀인과 기녀들은 모두 어전에 나와 휘장 뒤에서 나선의 설법을 들었다. 왕은 나선 앞에 자리를 잡고 앉았다. 왕이 나선에게 물었다.
“어떤 도에 대해서 설해주시겠습니까?”
“듣고 싶으신 말을 다섯 가지 청하면 마땅히 그 듣고 싶으신 것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대사들께서는 어떤 것을 가장 착한 일로 여기십니까? 어떤 이유로 사문이 되셨습니까?”
“우리들은 세간의 고뇌를 버리고 후생에도 같은 고뇌를 다시 하지 않으려고 사문이 되었습니다.”
“사문들은 다 그러합니까?”
“다 그런 이유 때문에 사문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그 가운데는 빚이 있어서 사문이 되는 이도 있고, 관리가 무서워서 사문이 되는 이도 있고, 가난해서 사문이 되는 이도 있습니다.”
나선은 말했다.
“나는 다만 애욕과 고뇌에서 벗어나서 금세에 고통을 없애려고 할 뿐입니다. 마음을 다하여 도를 구하려고 사문이 되었을 뿐입니다.”
“이제 대사께서는 그런 이유로 사문이 되신 것입니까?”
“어려서 사문이 되어 부처님의 경전과 도를 배웠습니다. 그런 연고로 금세와 후세에 고뇌에서 벗어나려고 사문이 되었을 뿐입니다.”
“참으로 훌륭하십니다.”
“사람은 죽은 후에 다시 태어납니까?”
“은애(恩愛)와 탐욕이 있는 사람은 후세에 다시 사람으로 태어납니다. 은애나 탐욕이 없는 사람은 후세에 다시 태어나지 않습니다.”
“사람이 한마음으로 바른 법을 생각하면 후세에 다시 태어나지 않습니까?”
“사람이 한마음으로 바른 법을 생각하여 지혜를 갖고 다른 좋은 일들을 하면 다시 태어나지 않습니다.”
“사람이 착한 마음으로 바른 법을 생각하는 것과 영리한 지혜를 갖는 것 이 둘은 같은 것입니까, 다른 것입니까?”
“그 뜻은 각각 다르며 같지 않습니다.”
“소나 말 등 여섯 마리 가축들은 각각 지모를 갖고 있으며 그 마음도 같지 않습니다.”
“대왕께서는 일찍이 보리 수확하는 것을 보신 일이 있습니까? 왼손으로 보리를 잡고, 바른손으로 보리를 벱니다.”
나선이 말했다.
“영리하고 지혜로운 사람은 애욕을 끊어냅니다. 비유하면 보리 수확하는 것과 같습니다.”
“과연 그렇습니다.”
왕이 다시 물었다.
“나선대사, 그 이외에 다른 착한 일은 없습니까?”
“성신(誠信)과 효순(孝順)과 정진(精進)과 염선(念善)과 일심(一心)과 지혜(智慧)가 착한 일입니다.”
“성신이란 무엇입니까?”
“성신은 사람의 의심을 풀어줍니다. 부처님이 계신 것을 믿고, 경법을 믿고, 비구승을 믿고, 나한도(羅漢道)가 있는 것을 믿고, 금세가 있는 것을 믿고, 후세가 있는 것을 믿고, 부모님께 효도하는 것을 믿고, 착한 일을 하면 착한 과보를 받고 악한 일을 하면 악한 과보를 받는다는 것을 믿는 것입니다. 믿음이 있음으로 인해 마음이 청정해져서 다섯 가지 악을 버리게 됩니다.
다섯 가지란 무엇인가 하면, 첫째는 음란한 것이고, 둘째는 화내는 것이며, 셋째는 눕기 좋아하는 것이며, 넷째는 노래하며 즐기는 것이며, 다섯째는 의심하는 것입니다. 사람이 이 다섯 가지를 버리지 않으면 마음이 고요하지 못하며, 이 다섯 가지를 버리면 마음이 즉시 청정해집니다.”
“비유하면 차가월왕(遮迦越王:전륜왕)의 수레와 말과 사람들이 물을 건너게 되면 물이 탁하게 되어버립니다. 그런데 왕이 갈증이 나서 물이 마시고 싶어집니다. 그러면 왕이 마침 물을 맑게 하는 구슬을 가지고 있어서 그 구슬을 물에 넣어두면 물이 맑아집니다. 이렇게 해서 왕이 즉시 물을 마실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사람이 마음에 다섯 가지 악을 가지고 있는 것은 탁한 물과 같습니다. 부처님의 여러 제자들은 생사의 도를 벗어납니다. 사람의 마음이 청정한 것은 물을 맑게 하는 구슬과 같습니다. 사람이 여러 가지 악을 버리고 마음을 다해 믿으면 명월주(明月珠)처럼 청정해집니다.”
왕은 말했다.
“과연 그렇습니다.”
왕이 나선에게 다시 물었다.
“정진성신(精進誠信)이란 어떤 것입니까?”
“부처님의 여러 제자들은 스스로 무리들을 서로 보며 여러 가지 청정한 것에 대해 설합니다. 그 가운데는 수다원(須陀洹)의 도를 얻은 이도 있고, 사다함(斯陀含)의 도를 얻은 이도 있고, 아나함(阿那含)의 도를 얻은 이도 있고, 아라한(阿羅漢)의 도를 얻은 이도 있습니다. 서로서로 모범을 삼아 성심껏 믿어서 세상을 제도합니다.”
“비유하면 마치 산 위에서 큰 비가 내려 그 물이 아래로 흐르면 물 흐르는 폭이 넓어집니다. 물 흐르는 양편에 있는 이들은 그 물이 얼마나 깊은지 얕은지를 몰라서 감히 앞으로 나가지를 못합니다. 그때 만약 먼 곳에서 어떤 사람이 오면 물을 보고 물이 흐르는 폭이 넓은지 좁은지 또는 물 깊이가 깊은지 얕은지를 은밀히 알게 됩니다. 그 사람은 물의 세력을 알고 능히 물에 들어가 물을 건너갑니다. 양쪽에 있던 사람들도 즉시 그 뒤를 따라 건너갑니다.
부처님의 제자들도 이와 같습니다. 그 마음이 청정하면 즉시 수다원도에 들게 되며, 사다함도를 얻고, 아나함도를 얻으며, 아라한도를 얻습니다. 착한 마음으로 정진하여 도를 얻는 것이 이와 같습니다.
부처님의 경전에서 말씀하시기를 ‘사람이 성심껏 믿는 마음을 가지고 있으면 스스로 득도할 수 있으며, 세상 사람을 능히 자제케 하여 다섯 가지 욕심을 버리게 할 수 있다’고 하셨습니다. 사람이 자신의 몸의 고뇌를 알게 되면 스스로 벗어날 수 있으며 사람은 모두 지혜로 그 도덕을 성취할 수 있습니다.”
“과연 그렇습니다.”
왕이 나선에게 다시 물었다.
“효순(孝順)이란 어떤 것입니까?”
“여러 가지 착한 일이 다 효순이 됩니다.”
나선은 말했다.
“네 가지 착한 일이 있는데 거기에 마음을 집중시켜야 합니다. 마음을 집중시켜야 할 네 가지 일이 무엇인가 하면”
“첫째는 자기 몸의 안팎을 관찰하는 것입니다. 둘째는 뜻으로 고락을 아는 것입니다. 셋째는 마음으로 선악을 아는 것입니다. 넷째는 바른 법을 아는 것입니다. 이것이 네 가지입니다.”
“또한 네 가지가 더 있습니다. 그 네 가지가 무엇인가 하면, 첫째는 그 뜻을 자제하는 것입니다. 둘째는 여러 가지 나쁜 일들을 마음속에 들이지 않는 것입니다. 셋째는 마음속에 있는 나쁜 일들은 쫓아내고 여러 가지 좋은 일들을 찾아내는 것입니다. 넷째는 그 마음속에 좋은 일들이 있으면 방일하지 않도록 자제하는 것입니다. 이것이 네 가지입니다.”
“또한 네 가지가 더 있는데 하고자 하는 바를 마음대로 하는 것입니다. 첫째는 욕심을 버리는 것이고, 둘째는 정진하는 것이고, 셋째는 마음을 자제하는 것이고, 넷째는 사유(思惟)하는 것입니다. 이것이 네 가지입니다.”
“또한 다섯 가지 본받아야 할 것이 있습니다. 그 다섯 가지란 무엇인가 하면, 첫째는 성신(誠信)이요, 둘째는 효순(孝順)이요, 셋째는 정진(精進)이요, 넷째는 마음을 다하여 착한 것을 생각하는 일이요, 다섯째는 지혜(智慧)입니다. 이것이 다섯 가지입니다.”
“또한 여러 가지 악을 제거하는 일곱 가지가 있는데 이를 7선(善)이라고 하며 7각의(覺意)라고도 합니다. 또한 8종도행(種道行)이 있습니다. 이는 또한 아구기(阿姤耆)라고도 합니다. 이것을 모두 37품경(品經)이라 하며 효순이 근본이 됩니다.”
“무릇 사람이 금을 지고 멀리서 와서 무엇인가 이루는 것이 있는 것은 다 땅으로 인해서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세간의 오곡과 수목 등 하늘을 바라보고 있는 것들이 다 땅으로 인해 생겨나는 것과 같은 것입니다. 비유하자면 대토목공이 성을 만들려고 할 때 먼저 측량을 하고 다음에 토대를 만든 다음 성을 쌓는 것과 같은 것입니다.”
“비유하자면 음곡과 가무를 하려고 할 때 먼저 땅을 깨끗이 한 후에 하는 것과 같은 것입니다. 부처님의 제자가 도를 구할 때 먼저 경계(經戒)를 행하고 선인(善因)을 짓고 근고(懃苦)를 알고 모든 애욕을 끊고 8종도행을 생각하는 것과 같습니다.”
왕은 말했다.
“과연 그렇습니다.”
왕이 나선에게 다시 물었다.
“정진이란 어떤 것입니까?”
“착한 것을 돕는 것, 이것이 정진입니다.”
“비유하자면 울타리가 넘어지려고 할 때 옆에서 이를 받쳐주는 것이나 집이 무너지려고 할 때 이를 받쳐주는 것과 같은 것입니다. 비유하자면 왕이 군사를 보내서 공격해야 할 일이 있는데 군사가 약해서 원하는 대로 되지 않을 때 왕이 다시 군사를 보내어 이들을 돕게 하여 승리를 거두는 것과 같습니다. 사람이 여러 가지 악을 가진 것은 마치 병사가 약한 것과 같습니다. 사람이 착한 마음을 지니면 악한 마음이 소멸합니다. 비유하면 국왕이 병사를 늘려서 승리를 얻는 것과 같습니다. 사람이 5계를 지키는 것은 비유하면 전투에서 이기는 것과 같습니다. 정진이 착한 것을 돕는 것도 이와 같습니다.”
나선은 경에서 말하는 것을 설하였다.
“정진은 사람이 선도(善道)에 이르도록 돕는 것입니다. 선에 이른 사람은 옛날의 삿된 것으로 돌아가지 않습니다.”
“과연 그렇습니다.”
왕이 나선에게 다시 물었다.
“뜻으로 여러 가지 착한 일을 생각해야 한다는 것은 어떤 것입니까?”
“비유하자면 향기가 있는 꽃을 모으는데 실로 묶으면 바람에 날려서 흩어지지 않는 것과 같습니다.”
“비유하자면 왕의 창고를 지키는 사람이 창고 안에 금ㆍ은이나 보배구슬이나 유리나 진보 등이 어디에 있는지 알고 있는 것과 같습니다.”
“도를 닦으려는 사람이 득도하려 할 때는 37품경을 생각합니다. 불도(佛道)를 생각하는 사람은 이와 같이 해야 하는 것으로 이것이 사람을 해탈시키는 길입니다. 사람에게 뜻이 있으면 선악을 앎으로 인해 행해야 할 바를 알게 되며 흑백을 가려 알고 생각하여 그 이후 악을 버리고 선을 취하는 것입니다.”
“비유하자면 왕에게 문을 지키는 사람이 있는데 왕을 공경하는 자도 있고, 왕에게 불경한 자도 있고, 왕에게 유리한 자도 있고, 왕에게 불리한 자가 있는 것도 알아서 왕을 공경하는 자나 왕에게 이로운 자는 문안에 들여보내고, 왕을 공경하지 않거나 왕에게 불리하게 하는 자는 안으로 들여보내지 않는 것과 같습니다.
사람이 뜻을 갖는 것도 이와 같습니다. 여러 가지 착한 일 등은 안으로 들여보내고, 착하지 않은 것들은 안으로 들이지 않는 것입니다. 뜻으로 사람의 선악을 자제하는 것도 이와 같습니다.”
나선은 경에서 말하는 바를 설하였다.
“사람은 마땅히 그 생각과 몸의 여섯 가지 애욕을 굳게 지켜야 하며 생각을 가지고 있는 것이 매우 견고하다면 당연히 세상을 제도할 때가 있을 것입니다.”
왕은 말했다.
“과연 그렇습니다.”
왕이 나선에게 다시 물었다.
“그 마음을 하나로 한다는 것은 어떤 것입니까?”
“여러 가지 선(善) 가운데 한마음이 첫째가는 것입니다. 한마음에는 여러 가지 선(善)이 뒤따라옵니다.”
“비유하자면 누각의 계단이 당연히 의지해 있는 것과 같이 여러 가지 선(善)이라는 것이 모두 이 한마음에 붙어 있는 것입니다.”
“비유하자면 왕이 네 종류의 병사를 데리고 전투를 하는 것과 같습니다. 코끼리를 탄 병사와 말을 탄 병사와 수레를 탄 병사와 보병은 왕이 나갈 때 모두 앞뒤로 따라갑니다. 불경에서 말하는 착한 일이 다 한마음을 따른다는 것이 이와 같은 것입니다.”
나선은 경에서 말하는 바를 설했다.
“여러 가지 선 가운데 한마음이 주가 됩니다. 도를 배우는 사람들은 다 한마음으로 돌아가야 합니다. 사람의 몸은 죽었다 태어나며 과거로부터 흐르는 물처럼 전후하여 서로 따라갑니다.”
“과연 그렇습니다.”
왕이 나선에게 다시 물었다.
“지혜란 어떤 것입니까?”
“앞에서 이미 대왕에게 말씀드렸습니다. 이 사람은 지혜로 모든 의심을 끊어버리고 여러 가지 선에 대하여 밝혔습니다.”
“비유하자면 사람이 등불을 가지고 어두운 방에 들어가면 어두움이 즉시 사라지고 스스로 밝아지는 것과 같이 사람의 지혜도 이와 같습니다.”
“비유하자면 사람이 날카로운 칼로 나무를 베듯이 사람도 지혜로 여러 가지 악을 잘라버립니다.”
“이 세간에서 지혜는 사람에게 제일 중요한 것입니다. 인생이 죽음에서 벗어나는 길입니다.”
왕은 말했다.
“과연 그렇습니다. 앞뒤로 말씀하신 바의 경은 여러 가지 지혜와 선에 대한 것입니다.”
왕이 나선에게 다시 물었다.
“부처님의 경전에서 말씀하신 것들은 단지 여러 가지 악한 일들을 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뿐입니까?”
“그렇습니다. 불경에서 설해진 여러 가지 선(善)에 대한 것은 일체의 악을 버리도록 하기 위한 것입니다.”
“비유하자면 왕이 네 가지 병사인 코끼리 탄 병사와 말 탄 병사와 수레를 탄 병사와 보병이 전투에 나가도록 하는데 처음 나가라고 할 때는 단지 적을 공격하려는 의도만 있는 것과 같습니다. 부처님의 경전에서 설해지고 있는 여러 가지 선에 대한 것도 여러 가지 악을 공격하여 뽑아버리기 위한 것입니다.”
“과연 그렇습니다. 경에 설한 말씀은 정말 마음을 상쾌하게 합니다.”
왕이 나선에게 다시 물었다.
“사람의 마음은 선도(善道)나 악도(惡道)를 향해 가게 되는데 몸은 이전의 정신을 지속적으로 가지고 살아나가는 것입니까? 아니면 다른 정신으로 바꾸어서 살아가는 것입니까?”
“이전의 몸과 마음도 아니고, 이전의 몸과 마음을 떠난 것도 아닙니다.”
나선은 왕에게 물었다.
“대왕이 어려서 젖을 먹었을 때와 지금 몸이 자라서 커졌을 때, 예전의 몸을 계속해서 가지고 있습니까, 없습니까?”
“어렸을 때의 몸과는 다릅니다.”
“사람이 어머니의 뱃속에 처음에 정자로 있을 때와 점차 형태가 흐트러질 때는 이전의 정자와 같지 않습니다. 살과 뼈가 단단해지면 이전의 정자와는 다릅니다. 처음에 태어났을 때와 몇 살쯤 됐을 때는 옛날의 정자와는 다릅니다. 사람이 글을 배울 때 옆에 있는 사람이 그 공부를 대신해줄 수 있습니까?”
“공부를 대신해줄 수는 없습니다.”
“사람이 죄를 지어서 이를 왕에게 말하는데 왕이 이해하지를 않습니다.”
왕이 말했다.
“나선대사께서는 이를 어떻게 해결합니까?”
“나는 예전 아주 어렸을 때와 어린아이에서부터 커졌을 때까지 옛날의 몸을 계속해서 가지고 있을 뿐 커졌을 때나 어렸을 때나 한몸을 가지고 있을 뿐입니다. 이것이 양생된 생명입니다.”
나선이 왕에게 물었다.
“사람이 등불을 켤 때는 새벽이 올 때까지 켭니까?”
“사람이 등불을 켤 때는 새벽이 올 때까지 켭니다.”
“등불 가운데 있는 심지가 하룻밤 동안 계속되면 먼젓번의 심지의 불이 빛을 발합니까, 안합니까? 한밤중에 이르거나 아침이 밝을 때에 앞의 심지불이 빛을 발합니까?”
“앞의 심지불은 빛을 못 냅니다.”
“등불을 밤새도록 켜서 한밤중에 이르면 또 다른 불을 켭니까? 새벽이 올 때 다시 불을 켭니까?”
“안 켭니다. 한밤 내내 불을 계속해서 켜기 때문에 한 심지의 불이 새벽까지 갑니다.”
“사람의 정신이 반복해서 상속하는 것도 이와 같습니다. 하나가 가면 두 번째가 옵니다. 정신에서부터 늙음과 죽음에 이릅니다. 뒤에 정신은 나아가서 태어나는 것이 됩니다. 반복해서 상속하는 이것은 이전의 정신이 아니며 또한 이전의 정신을 떠난 것도 아닙니다. 사람이 죽은 이후 정신은 즉시 향해가는 바가 있어서 태어나게 됩니다.”
“비유하자면 우유의 즙으로 낙(酪)을 만듭니다. 상비(上肥)를 취해서 제호(醍醐)를 만듭니다. 낙과 소와 상비를 되돌려 유즙이라는 이름으로 다시 부를 수가 있습니까?”
“그럴 수는 없습니다.”
“사람의 정신이란 유즙과 같은 것입니다. 유즙에서 낙을 만들고, 낙에서부터 상근이 되며, 상근에서부터 제호가 되는 것같이 사람도 정자에서부터 태어나기에 이르는 것이며, 태어나서부터 중년에 이르고, 중년에서부터 늙음과 죽음에 이르는 것입니다. 사후에 정신은 다시 몸을 받아 태어납니다. 사람의 몸은 죽은 후에 다시 태어나서 몸을 받습니다. 비유하자면 두 개의 심지가 서로 연이어서 타는 것과 같습니다.”
“과연 그렇습니다.”
왕이 다시 물었다.
“사람이 다음 생에 다시 태어나지 않는다면 그 사람은 자기가 다시 태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압니까, 모릅니까?”
“다음 생에 태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압니다.”
“그것을 어떻게 압니까?”
“그 사람은 자신에게 은애(恩愛)가 없고, 탐욕이 없고, 여러 가지 악이 없다는 것을 압니다. 그리하여 자신이 다시 태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압니다.”
“비유하자면 농가에서 곡식을 심어서 수확을 많이 해서 대광주리에 담아 놓았는데 그 다음해에 씨 뿌려 경작하지 않으면 다시 곡식을 얻을 수 있습니까, 없습니까?”
“곡식을 다시 얻을 수 없습니다.”
“도를 닦는 사람도 그와 같습니다. 고락과 은애를 버리고 탐하는 것이 없게 되면 다음 세상에 다시 태어나지 않을 것을 스스로 알게 됩니다.”
“과연 그렇습니다.”
왕이 다시 물었다.
“다음 세상에 다시 태어나지 않는 사람은 그 지혜가 보통 사람과 다릅니까?”
“그렇습니다. 보통 사람과 다릅니다.”
“밝다는 것[明]과 지혜[智]는 같은 것입니까, 다른 것입니까?”
“밝다는 것과 지혜는 같은 것입니다.”
“사람이 밝음과 지혜를 가지고 있으면 어떻게 여러 가지 일들을 다 알게 됩니까? 하나를 도모하면 다섯 가지를 이루게 됩니까?”
“여러 가지를 도모하면 이루는 것은 하나가 아닙니다. 비유하자면 한 땅에 곡식의 씨를 심으면 그 싹이 날 때에 마땅히 각각 그 종류의 싹이 나는 것과 같습니다. 사람의 몸의 다섯 가지 일도 다 여러 가지 일을 써서 각각 이루는 것이 있는 것입니다.”
“과연 그렇습니다.”
왕이 나선에게 다시 물었다.
“세간 사람들은 머리나 얼굴이나 신체의 사지는 다 구비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어찌하여 명이 긴 사람과 명이 짧은 사람이 있으며, 몸에 병이 많은 사람과 병이 적은 사람이 있으며, 가난한 사람과 부자가 있으며, 신분이 높은 사람과 비천한 사람이 있으며, 단정한 사람과 추악한 사람이 있으며, 사람들에게 신뢰를 받는 사람과 의심을 받는 사람이 있으며, 지혜가 밝은 사람과 어두운 사람이 있게 되는 것입니까? 서로 같지 않은 이유는 무엇입니까?”
“비유하자면 여러 가지 나무들에서 과일이 열리는데 신맛이 나는 것도 있고, 쓴맛이 나는 것도 있으며, 매운맛이 나는 것도 있고, 단맛이 나는 것도 있습니다.”
나선이 왕에게 물었다.
“이들 나무들은 왜 서로 같지 않습니까?”
“그것이 같지 않은 것은 본래 묘목이 각기 다르기 때문입니다.”
“사람은 그 하는 짓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명이 긴 사람도 있고, 명이 짧은 사람도 있고, 병이 많은 사람도 있고, 병이 적은 사람도 있고, 부자도 있고, 가난한 사람도 있으며, 귀한 사람도 있고, 천한 사람도 있으며, 단정한 사람도 있고, 추악한 사람도 있으며, 그 말이 잘 먹혀들어가는 사람도 있고, 말이 잘 먹혀들어가지 않는 사람도 있고, 지혜가 밝은 사람도 있고, 어두운 사람도 있는 것입니다.”
“부처님의 경전에서 말씀하시기를 호귀나 빈궁이나 잘생긴 것이나 못생긴 것은 다 자신의 숙명이 지은 것으로 자신이 선악에 대해 행한 바에 따라 얻어지는 것이라고 하셨습니다.”
“과연 그렇습니다.”
왕이 나선에게 다시 물었다.
“사람이 착한 일을 하려고 하면 마땅히 앞서 착한 일을 해야 합니까, 곧 뒤에 해야 합니까?”
“마땅히 앞서 착한 일을 해야 합니다. 뒤에 하는 것은 사람에게 이익이 되지 않습니다.”
“대왕께서 목이 마를 때 땅을 파서 우물을 만들려고 하면 갈증이 가십니까?”
“갈증이 가시지 않습니다. 앞서 우물을 파놓아야 합니다.”
“그런 까닭으로 착한 일도 앞서 해놓아야 합니다.”
“배가 고플 때 사람으로 하여금 씨 뿌려 경작하게 하면 곡식이 곧 익어서 먹을 수 있습니까?”
“먹을 수 없습니다. 먼저 준비를 해 놓아야 합니다.”
“사람도 이와 같이 먼저 착한 일을 해야 합니다. 급한 일이 생겼을 때 착한 일을 하면 사람의 몸에 이롭지 않습니다.”
“비유하자면 왕에게 원한이 있는데 그때를 당해서 전투에 필요한 것을 갖추려 하면 되겠습니까?”
“그러면 안 됩니다. 원한이 있으면 미리 준비해야 마땅합니다.”
“부처님께서 경전에서 말씀하시기를 사람은 먼저 스스로 생각해서 착한 일을 해야 한다고 하셨습니다. 뒤에 하는 것은 이익이 되지 않는다고 하셨습니다. 대도(大道)를 버리고 사도(邪道)를 취하는 것을 하지 말며, 어리석은 사람을 모범으로 삼아서 착한 일을 안 하고 악한 일을 하면 안 된다고 하셨습니다. 그리하면 후에 주저앉아 울어도 소용이 없습니다. 사람이 바른 길을 버리고 부정한 길을 취하면 죽음에 임해서 후회합니다.”
“과연 그렇습니다.”
왕이 나선에게 다시 물었다.
“대사와 같은 여러 사문들은 세간의 불과 지옥의 화열은 같지 않다고 말합니다. 또 말하기를 작은 돌을 세간의 불에 던져 저녁에 이르러도 불이 꺼지지 않는다고 합니다. 큰 돌을 취해서 지옥의 불 가운데 놓으면 즉시 불이 꺼진다고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나는 이 말을 믿지 않습니다. 또한 말하기를 사람이 악한 일을 하여 지옥에 가서 수천만 세가 지나도 그 사람은 불에 타 죽지 않는다고 합니다. 그래서 나는 이 말을 또한 믿지 않습니다.”
나선이 물었다.
“물속에 있는 이무기나 교룡(蛟龍)이나 용이나 물고기나 자라가 모래를 먹고 산다는 말을 들어보셨습니까?”
“그렇습니다. 실제로 모래로 밥을 삼습니다.”
“모래가 소화가 됩니까?”
“다 소화가 됩니다.”
“그 뱃속에 새끼를 배면 그 새끼도 소화가 됩니까?”
“소화되지 않습니다.”
“왜 소화가 안 됩니까?”
“본래의 복덕이 있기 때문에 소화되지 않는 것입니다.”
“지옥에 있는 사람이 수천만 세가 지나도 불에 타 죽지 않는 것은 그가 지은 악을 다 갚지 못했기 때문에 타 죽지 않는 것입니다.”
나선이 왕에게 물었다.
“사자나 호랑이나 이리는 다 육식을 하는데 먹은 뼈가 뱃속에 들어가면 그것들이 소화되어 없어집니까?”
“소화됩니다.”
“그 뱃속에 있는 새끼도 또한 소화됩니까?”
“소화되지 않습니다.”
“왜 소화되지 않습니까?”
“본래의 복덕이 있기 때문에 소화되어 없어지지 않습니다.”
“소나 말이나 큰 사슴이나 사슴은 풀을 먹고 삽니까?”
“풀을 먹고 삽니다.”
“그 풀들은 뱃속에서 소화가 됩니까?”
“다 소화가 됩니다.”
“그 뱃속에 새끼를 배면 그 새끼도 소화가 됩니까?”
“소화되지 않습니다.”
“왜 소화되지 않습니까?”
“본래의 복덕이 있기 때문에 소화되지 않습니다.”
“지옥에 있는 사람도 이와 같습니다. 악한 일을 많이 한 것이 다 갚아지지 않았기 때문에 불에 타 죽지 않는 것입니다.”
나선이 왕에게 물었다.
“세간의 여인들은 음식이 다 맛있어서 자기의 뜻대로 음식을 먹는데 그 먹은 음식이 뱃속에서 소화가 됩니까?”
“소화가 됩니다.”
“뱃속에 아기를 배면 그 아기도 소화가 됩니까?”
“아기는 소화가 되지 않습니다.”
“왜 소화가 되지 않습니까?”
“본래의 복덕이 있기 때문에 소화되지 않습니다.”
“지옥 가운데 있는 사람도 이와 같아서 수천만 세가 지나도 타 죽지 않는 것은 악한 일을 한 것들이 다 갚아지지 않았기 때문에 타 죽지 않는 것입니다.”
“사람은 지옥 가운데서 태어나고, 지옥 가운데서 자라고, 지옥 가운데서 늙으며, 그 생이 다하면 지옥 가운데서 죽습니다.”
“과연 그렇습니다.”
왕이 나선에게 다시 물었다.
“대사와 같은 여러 사문들은 천하의 땅은 모두 물 위에 있고, 물은 바람의 위에 있고, 바람은 하늘 위에 있다고 말하는데 나는 이를 믿지 않습니다.”
나선은 먼저 왕의 먹을 가는 물을 취해서 손가락으로 그것을 찍어 들면서 왕에게 물었다.
“바람이 물을 쥔다는 것은 바로 이와 같은 것입니다.”
“과연 그렇습니다.”
왕이 나선에게 다시 물었다.
“열반의 도에서는 과거에 있었던 일이 없습니까?”
“열반의 도에서는 과거에 있었던 일이 없습니다.”
나선이 말했다.
“어리석은 사람은 몸에 탐착해서 몸을 아끼고, 아깝게 여기며 여기에 머무르기 때문에 능히 득도하여 생로병사를 벗어나지 못합니다.”
“지혜가 있는 사람은 도를 배워서 몸의 안팎을 아끼거나 아깝게 여기지 않기 때문에 은애가 없게 되며, 은애가 없으면 탐욕이 없게 되며, 탐욕이 없으면 포태(胞胎)를 하지 않으며, 포태가 없으면 탄생이 없고, 탄생이 없으면 늙음이 없고, 늙음이 없으면 병이 없고, 병이 없으면 죽음이 없고, 죽음이 없으면 걱정이 없고, 걱정이 없으면 울음이 없고, 울음이 없으면 고통이 없고, 드디어 열반의 도를 얻게 되는 것입니다.”
왕이 나선에게 다시 물었다.
“도를 배우는 모든 사람들은 다 열반의 도를 성취합니까?”
“누구나 다 열반의 도를 성취한다고는 할 수 없습니다. 바르게 열반의 도를 향해 가는 사람은 바른 일을 배워서 압니다. 마땅히 봉행해야 할 것은 이를 봉행하고, 봉행하지 않아야 할 것은 이를 멀리 합니다. 마땅히 생각해야 할 것은 이를 생각하고, 생각하지 않아야 할 것은 이를 생각하지 않습니다. 이와 같이 하여 열반의 도를 성취합니다.”
“열반의 도를 성취하지 못한 사람도 열반의 도라는 것이 사람의 마음을 상쾌하게 하는 것이라는 것을 압니까?”
“그렇습니다. 열반의 도를 성취하지 못해도 열반의 도라는 것이 사람의 마음을 상쾌하게 하는 것이라는 것은 압니다.”
“열반의 도를 성취하지 못한 사람이 열반의 도가 사람의 마음을 상쾌하게 하는 것이라는 것을 어떻게 압니까?”
“사람이 일찍이 손이나 발이 잘려 본 일이 없었는데도 그 아픔이 얼마나 심한지를 알 수 있습니까?”
“손이나 발이 잘려 본 일이 없었어도 그 아픔을 알 수 있습니다.”
“어떻게 그 아픔을 알 수 있습니까?”
“손이나 발이 잘린 사람이 아파서 지르는 소리를 듣고 알 수 있습니다.”
“앞서 열반의 도를 성취한 사람이 열반의 도는 사람의 마음을 상쾌하게 하는 것이라고 전하는 말을 듣고서 이를 믿게 되는 것입니다.”
“과연 그렇습니다.”
왕이 나선에게 다시 물었다.
“부처님을 뵌 일이 있습니까?”
“뵌 일이 없습니다.”
“나선대사와 같은 여러 스님들께서는 부처님을 뵌 일이 있습니까?”
“여러 스님들 역시 부처님을 뵙지 못했습니다.”
“나선대사나 여러 스님들께서 부처님을 뵙지 못하였으니 부처님은 정녕 없으셨던 것 아닙니까?”
“대왕께서는 5백 개의 시냇물이 한 곳으로 모이는 곳을 보았습니까?”
“나는 보지 못하였습니다.”
“왕의 아버지나 할아버지도 보셨습니까?”
“그분들도 다 보지 못하셨습니다.”
“대왕의 아버님이나 할아버지도 다 이 5백 개의 시냇물이 모이는 곳을 보지 못하셨으니 천하에 이 5백 개의 시냇물이 모이는 곳은 없는 것이 아닙니까?”
“나나 나의 아버님이나 할아버님이 보지 못하였다고 하여도 이 물은 실제로 있는 것입니다.”
“나나 여러 스님들이 부처님을 뵙지 못하였다고 하여도 부처님은 실제로 계셨던 것입니다.”
왕이 다시 물었다.
“부처님보다 더 훌륭한 이는 없는 것입니까?”
“그렇습니다. 부처님보다 더 훌륭한 이는 없는 것입니다.”
“어찌하여 부처님보다 더 훌륭한 이는 없다고 하는 것입니까?”
“만약 사람이 바다에 들어가 보지 않았다면 어찌 바다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겠습니까? 다섯 개의 큰 강이 있습니다. 5백 개의 작은 강물이 큰 강으로 흘러듭니다. 큰 강 중의 하나는 항(恒, Ganga강)이라 하고, 둘째는 신타(信他, Sindhu강)며, 셋째는 사타(私他, Sta강)며, 넷째는 박차(博叉, Vaksu 또는 Vanksu강)이며, 다섯째는 시피이이(施披夷爾)입니다. 이 다섯 개의 강물은 주야로 흘러 바다로 들어갑니다. 바닷물은 늘어나지도 않고 줄어들지도 않습니다.”
“대왕께서는 이에 대해 들어보셨습니까?”
“알고 있습니다.”
“득도한 분들이 모두 말하기를 부처님보다 더 훌륭한 분은 없다고 합니다. 그리하여 나는 그것을 믿습니다.”
“과연 그렇습니다.”
왕이 나선에게 다시 물었다.
“부처님보다 더 훌륭한 이가 없다는 것을 어떻게 하여 압니까?”
“글자를 만든 사람이 누구인 줄 아십니까?”
“글자를 만든 사람의 이름은 ‘질(質, Tissa)’이라고 합니다.”
“대왕께서는 질이라는 분을 만나보셨습니까?”
“질이라는 분은 이미 오래 전에 돌아가셨습니다. 그래서 만나보지 못하였습니다.”
“대왕께서는 질이라는 분을 만나보지 못하셨는데 그 분이 글자를 만들었다는 것을 어떻게 아십니까?”
“옛날의 글자를 가지고 서로 전해가며 가르치므로 질이라는 분의 이름을 알고 있는 것입니다.”
“우리들도 같은 이유로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경전과 계율을 보고 부처님을 뵌 것과 다름이 없다고 여기는 것입니다. 부처님께서 설하신 도는 깊고 깊어서 사람을 상쾌하게 만듭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계율을 알게 된 이후에 서로 이를 모범으로 삼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부처님보다 더 훌륭한 이는 없다고 아는 것입니다.”
“나선대사께서는 부처님 경전의 도를 보고 이를 행하신 지가 오래 되셨습니까?”
“부처님께서 시설하신 가르침과 계율은 사람의 마음을 매우 상쾌하게 만드니 늙을 때까지 받들어 행할 것입니다.”
“과연 그렇습니다.”
왕이 나선에게 다시 물었다.
“사람이 죽은 이후에 현재의 몸은 후생에까지 따라가지 않습니까?”
“사람이 죽은 이후에는 새 몸을 받기 때문에 현재의 몸은 따라가지 않습니다.”
“비유하자면 등불 가운데 심지가 서로 연이어 타는 것과 같습니다. 먼저 심지가 있는 가운데 새 심지가 연이어 탑니다. 사람의 몸도 이와 같아서 먼저 몸을 가져가지 않고 새 몸을 받습니다.”
“대왕께서 어렸을 적에 스승을 따라서 글을 배우고 경을 읽지 않았습니까?”
“그랬습니다. 나는 그것을 계속해서 생각했습니다.”
“대왕께서는 스승에게서 경서를 배웠는데 스승께서는 어떻게 본 경서에 대해 알고 계셨을까요? 아니면 대왕께서 그 본 경서 모두를 탈취해낸 것입니까?”
“그렇지 않습니다. 스승께서는 계속해서 스스로 본 경서에 대해 알고 계셨습니다.”
“사람의 몸도 이와 같아서 먼저의 몸을 놓아두고 새 몸을 받는 것입니다.”
“과연 그렇습니다.”
왕이 나선에게 다시 물었다.
“상주(常住)의 주체인 영혼[智]이란 없는 것입니까?”
“상주의 주체인 영혼[智]은 없습니다. 비유하자면 어떤 사람이 다른 사람의 과일이나 열매를 도둑질한다면 그 사람은 잘못이 없는 것입니까?”
“잘못이 있습니다.”
“처음에 나무 묘목을 심었을 때 아직 과일이 열리지 않았었는데 도둑질한 사람에게 무슨 잘못이 있다고 하겠습니까?”
“만일 묘목을 심지 않았다면 과일이 있다고 하겠습니까? 그렇기 때문에 도둑질한 사람에게서는 본받을 것이 없는 것입니다.”
“사람의 몸도 이와 같아서 현재의 이 몸으로 착한 일도 하고 악한 일도 합니다. 그리고 후세에 다시 태어나 새 몸을 받습니다.”
“사람이 먼저의 몸으로 지은 착한 일이나 악한 일은 어디에 있습니까?”
“사람이 지은 모든 착한 일이나 악한 일은 그림자처럼 그 몸을 따라다닙니다. 사람이 죽으면 그 몸은 없어지지만 그가 행한 것은 없어지지 않습니다. 비유하자면 불을 켜고 밤에 책을 보는 것과 같습니다. 불이 꺼져도 그 글자는 계속해서 있습니다. 불을 켜면 다시 글자를 볼 수 있습니다. 금생에 지은 행은 후생에도 남아있어 이를 받는 것이 이와 같습니다.”
“과연 그렇습니다.”
“나선대사께서는 선악의 소재를 분별하여 가리킬 수 있습니까?”
“선악의 소재를 알 수가 없습니다.”
나선이 왕에게 물었다.
“나무에 아직 과일이 열리지 않았을 때 대왕께서는 어떤 나뭇가지 사이에는 과일이 열릴 것이고, 어떤 나뭇가지 사이에는 과일이 열리지 않으리라는 것을 분별하여 가리켜 말할 수 있습니까? 그것을 미리 알아서 말할 수 있습니까?”
“알 수 없습니다.”
“사람이 득도하지 못하면 선악의 소재를 미리 알 수 없습니다.”
“과연 그렇습니다.”
왕이 다시 물었다.
“후생에 다시 태어날 사람은 자신이 그것을 알 수 있습니까?”
“그 태어날 사람은 그것을 스스로 압니다.”
“어떻게 압니까?”
나선이 말했다.
“비유하자면 농가에서 씨 뿌려 경작할 때 하늘에서 비가 내리면 그 사람은 당연히 곡식을 얻게 될 것이라는 것을 압니까?”
“알게 됩니다. 그 밭에서 곡식이 많이 나오리라는 것을 압니다.”
“사람도 그와 같아서 후생에 태어날 사람은 그것을 미리 압니다.”
“과연 그렇습니다.”
왕이 나선에게 다시 물었다.
“진정 열반이란 없는 것 아닙니까?”
“진정 열반은 있습니다.”
“나선대사께서는 내게 부처님께서 어디에 계신지 가르쳐주실 수 없습니까?”
“부처님께서 어디에 계신지 가르쳐드릴 수 없습니다. 부처님께서는 이미 열반하셔서 가셨기 때문에 부처님 계신 곳을 가르쳐드릴 수 없습니다.”
“비유하자면 사람이 큰 불을 켰다가 즉시 그 불을 끈 것과 같습니다. 그러니 그 불빛이 어디에 있는지 알 수 있겠습니까?”
“어디에 있는지 알 수 없습니다.”
“부처님께서는 이미 열반해 가셨습니다. 어디에 계신지 알 수 없습니다.”
“과연 그렇습니다.”
왕이 또 나선에게 물었다.
“사문들은 그 자신의 몸을 아깝게 여깁니까?”
“사문들은 자기 몸을 아깝게 여기지 않습니다.”
“사문들이 자기 몸을 아깝게 여기지 않는다면 어찌하여 스스로 움직이거나 쉬며, 눕기도 하고, 편안하거나 따뜻하게 하고, 음식을 먹으며 스스로를 잘 보호하려고 합니까? 왜 그럽니까?”
“대왕께서는 일찍이 전투를 해본 일이 있습니까?”
“그렇습니다. 일찍이 전투를 해본 일이 있습니다.”
“전투를 할 때 일찍이 칼날이나 투구나 화살로 인해 상처를 입은 일이 있습니까?”
“나는 일찍이 칼날에 상처를 입은 일이 있습니다.”
“칼날이나 투구나 화살로 상처를 입었을 때 어떻게 합니까?”
“나는 고약과 솜으로 치료합니다.”
“상처를 아깝게 여기기 때문에 고약과 솜으로 치료하는 것입니까?”
“나는 상처를 아깝게 여기지는 않습니다.”
“특별히 상처를 아깝게 여기지 않는다면 왜 고약과 솜으로 치료하여 그것을 보호하는 것입니까?”
“나는 상처를 빨리 낫게 하고 싶기 때문입니다.”
“사문도 그와 같습니다. 몸을 아깝게 여기지는 않습니다. 음식을 먹기는 하지만 마음으로 즐겨서 아름다워지려고 하거나 좋은 것을 취하거나 신체를 좋게 하려 하지는 않습니다. 신체를 유지해서 부처님의 가르침과 계율을 봉행하려고 하는 것뿐입니다. 부처님의 경전에서 말씀하시기를 사람의 몸에는 아홉 개의 구멍이 있는데 이것이 아홉 궁(弓)의 상처가 되며, 이 모든 구멍에서는 냄새가 나고 깨끗하지 못하다고 하셨습니다.”
“과연 그렇습니다.”
왕이 나선에게 다시 물었다.
“부처님께서는 32상(相) 80종호(種好)를 갖추신 몸으로 모두 금색이시고 빛나셨습니까?”
“부처님께서는 32상 80종호를 갖추신 몸으로 모두 금색이며 빛이 나셨습니다.”
“부처님의 부모님께서도 32상 80종호를 갖추신 분으로 모두 금색이며 빛나셨습니까?”
“부처님의 부모님께서는 그렇지 않았습니다.”
“부처님께서는 32상 80종호를 갖추셨는데 부모님께서는 그렇지 않았다니 부처님께서도 그렇지 않으셨던 것 아닙니까?”
왕이 다시 물었다.
“사람의 자식은 다 부모를 닮습니다. 부처님의 부모님이 그렇지 않으셨다면 부처님도 정녕 그렇지 않으셨던 것 아닙니까?”
“부처님의 부모님께서는 32상 80종호를 갖추시지 않으셨고 금색에 빛나지 않으셨지만 부처님께서는 32상 80종호를 갖추시고 금색에 빛나셨습니다.”
“대왕께서는 일찍이 연꽃을 보셨습니까?”
“보았습니다.”
“이 연꽃은 땅에서 나서 진흙탕에서 자라지만 그 빛깔이 매우 아름답습니다. 그렇지만 어떻게 다시 진흙탕 빛깔과 같겠습니까?”
“땅이나 진흙탕 빛깔과는 다릅니다.”
“부처님의 부모님은 32상 80종호를 갖추지 않으셨지만 부처님께서는 이 상을 갖추셨고, 부처님께서는 세간에 태어나셔서 세간에서 자라셨지만 세간의 일을 닮지 않으셨습니다.”
“과연 그렇습니다.”
왕이 나선에게 다시 물었다.
“부처님께서는 제7천의 범천왕과 같이 그 행하는 바가 청정하여 여자와 만나는 일이 없었습니까?”
“그렇습니다. 여인과 떨어져 있어서 깨끗하며 허물이나 더러움이 없었습니다.”
“만일 부처님께서 제7천왕의 행하는 바와 같으시다면 부처님은 제7천왕인 범천의 제자가 되는 것입니까?”
나선이 왕에게 물었다.
“제7천왕은 유념(有念)입니까, 무념(無念)입니까?”
“제7천왕은 유념입니다.”
“그렇기 때문이 제7천왕과 위의 여러 하늘들은 모두 부처님의 제자가 되는 것입니다.”
나선이 왕에게 물었다.
“코끼리의 울음소리는 어떤 소리와 비슷합니까?”
“코끼리의 울음소리는 기러기의 울음소리와 비슷합니다.”
“그렇다면 코끼리는 기러기의 제자가 되어야 할 것인데 각각 다른 종류입니다. 그러므로 부처님도 제7천왕인 범천의 제자는 아닌 것입니다.”
“과연 그렇습니다.”
왕이 나선에게 다시 물었다.
“부처님께서는 모든 경전과 계율을 배워서 알고 봉행하셨습니까?”
“부처님께서는 모든 경전과 계율을 배워서 알며 봉행하셨습니다.”
“부처님께서는 어떤 스승에게서 경전과 계율을 배우셨습니까?”
“부처님에게는 스승이 없었고, 부처님께서 득도하셨을 때 여러 경전의 도를 스스로 아셨습니다. 부처님은 여러 제자들이 배워서 아는 것과는 달랐습니다. 부처님이 가르치신 것을 여러 제자들은 늙을 때까지 봉행해야 할 것입니다.”
왕이 또 나선에게 물었다.
“사람들은 부모가 돌아가셨을 때 슬퍼서 울며 눈물을 흘립니다. 사람들이 부처님의 경전을 들을 때 역시 슬퍼서 울며 눈물을 흘리는 일이 있습니다. 이것은 같은 것입니까, 다른 것입니까?”
“사람이 부모를 위해서 우는 것은 다 은혜와 사랑을 생각해서입니다. 은혜를 생각하며, 괴로워하고, 고통스러워합니다. 이러한 종류의 괴로움은 다 어리석은 괴로움입니다. 부처님의 경전을 듣고 우는 것은 다 자애의 마음에서 세간의 고통을 생각하고 우는 것입니다. 때문에 이러한 울음은 그 복덕이 매우 큰 것입니다.”
“과연 그렇습니다.”
왕이 또 나선에게 물었다.
“득도하여 해탈한 사람은 어떤 점에서 다릅니까?”
“해탈하지 못한 사람은 탐욕심이 있고, 해탈한 사람은 탐욕심이 없습니다. 그저 음식을 먹고 명을 유지하기 위할 뿐입니다.”
“내가 세간의 사람들을 보니 다 몸을 상쾌하게 하려 하고, 맛있는 음식을 먹으려 하며, 만족할 줄을 모릅니다.”
“사람이 해탈을 얻지 못하면 음식을 먹는 것은 왕성하게 되기 위한 것이 되거나 좋은 맛을 즐겨서 먹는 것이 됩니다. 그러나 해탈을 얻으면 비록 음식을 먹긴 하지만 즐기기 위한 것이 아니고, 좋은 맛을 위한 것이 아닙니다. 명을 유지하기 위해 그러는 것입니다.”
“과연 그렇습니다.”
왕이 나선에게 다시 물었다.
“사람이 집에서 하는 일들 속에서 영원에 관한 일을 생각할 수 있습니까?”
“사람은 괴로운 일이 있을 때 영원에 관한 일을 생각합니다. 대왕께서는 어떻게 이것을 생각하십니까? 본래 마음에서 우러나와서 생각하십니까, 기억으로 생각하십니까?”
나선이 왕에게 물었다.
“일찍이 배운 것이 있은 후에 그것을 생각하는 것 아닙니까?”
“그렇습니다. 일찍이 배운 것이 있은 후에는 그것을 잊지 않습니다.”
“대왕께서는 이때 본래적인 마음이 없기 때문에 잊어버리는 것 아닙니까?”
“나는 이때 생각하는 것을 잊습니다.”
“마치 왕이라는 것을 빌려서 그 모습으로 하는 것과 같습니다.”
왕이 나선에게 다시 물었다.
“사람이 하는 일은 모두 기억합니까? 만약 처음으로 했던 것이 이미 있어서 기억하는 것이고, 현재 하는 것은 그것을 기억해서 알고 있는 것입니까?”
“과거의 일들은 다 기억해서 알고 있으며, 현재의 일들도 기억해서 알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사람은 단지 과거의 일들만 기억하고 새로운 일들은 기억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가령 새로운 것을 하는 것이 있는데 기억하지 못하는 것도 이와 같습니다.”
“사람이 처음으로 글을 배우는데 기교는 헛된 것입니까?”
“사람이 새로 서화를 배우는데 기억하는 바가 있기 때문에 제자로 하여금 배워서 알게 하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기억하는 것이 있는 것입니다.”
“과연 그렇습니다.”
왕이 나선에게 다시 물었다.
“사람은 어떤 일들에 대해 기억을 하는 것입니까?”
“사람에게는 대체로 열여섯 가지 일이 있어서 기억을 하게 됩니다. 첫째는 예부터 한 일에 대해 기억을 합니다. 둘째는 새로 배우는 것에 대해 기억을 합니다. 셋째는 큰 일이 있으면 기억을 하게 됩니다. 넷째는 좋은 일을 생각해서 기억하는 것이고, 다섯째는 일찍이 겪은 고통에 대해 기억을 하고, 여섯째는 스스로 사유한 것에 대해 기억하고, 일곱째는 일찍이 안 잡다한 일에 대해 기억하고, 여덟째는 사람이 가르쳐주어 기억하는 것이고, 아홉째는 특징에 대해 기억합니다. 열째는 일찍이 잊어버린 것에 대해 기억을 하며, 열한 번째는 기호(記號)에 대해 기억을 하며, 열두 번째는 산술(算術)에 대해 기억하고, 열세 번째는 빚진 것에 대해 기억하고, 열네 번째는 일심(一心)을 기억하고, 열다섯 번째는 독서에 대해 기억하고, 열여섯 번째는 일찍이 부탁받은 것이 있어 다시 보게 되어 기억합니다. 이것이 열여섯 가지 일이 있어 기억하게 되는 것입니다.”
왕이 나선에게 다시 물었다.
“예부터 한 일에 대해 기억하는 것은 어떤 것입니까?”
“부처님의 제자이신 아난(阿難)의 여제자인 우바이(優婆夷) 구수단파(鳩讐單罷)는 천억 세 전의 숙명의 일들을 기억했으며, 그 밖의 다른 도인들도 과거의 일들을 능히 기억하고 있습니다. 아난의 여제자 같은 이는 많습니다. 과거를 생각하면 문득 이를 기억할 수 있는 것입니다.”
왕이 또 물었다.
“새로 배운 것을 기억한다는 것은 어떤 것입니까?”
“사람이 일찍이 배워서 알고 요량하여도 이를 잊어버립니다. 그러다 다른 사람이 이를 요량하는 것을 보고 즉시 이를 기억합니다.”
“큰일에 대해 기억한다는 것은 어떤 것입니까?”
“비유하자면 태자를 세워 왕이 되게 하는 것입니다. 스스로 생각해도 이는 귀합니다. 이런 것이 큰일을 기억하는 것입니다.”
“좋은 일을 생각해서 기억한다는 것은 어떤 것입니까?”
“비유하자면 사람이 초청을 받는 일이 있습니다. 지극한 마음에서 그를 귀빈으로 대접합니다. 초청을 받은 사람이 생각하기를 ‘언젠가 누구의 초청을 받았었는데 지극한 대접을 받았다’고 기억하면 이것이 좋은 일에 대해 기억하는 것입니다.”
“겪은 고통을 기억하는 것은 어떤 것입니까?”
“비유하자면 사람이 매를 맞거나 감옥에 갇힌 일이 있었으면 이것이 겪었던 고통을 기억하는 것이 됩니다.”
“스스로 생각해서 기억하는 것은 어떤 것입니까?”
“비유하자면 사람이 일찍이 본 바가 있는 가실(家室)이나 종친이나 축생들은 스스로 생각해서 기억하는 것이 되는 것입니다.”
“잡다한 것에 대해 기억하는 것은 어떤 것입니까?”
“비유하자면 사람이 만물의 이름이나 안색이나 향취나 초고(酢苦) 등 여러 가지 일에 대하여 생각하면 이것이 일찍이 한 잡다한 일에 대하여 기억하는 것입니다.”
왕이 나선에게 다시 물었다.
“사람이 가르쳐주어 기억하는 것은 어떤 것입니까?”
“사람이 스스로 기뻐서 주위 사람을 잊습니다. 그 가운데 기억하는 사람도 있고, 잊어버린 사람도 있습니다. 이것이 사람이 가르쳐주어 기억하는 것입니다.”
“특징으로 기억한다는 것은 어떤 것입니까?”
“사람이나 소나 말은 각각 자신의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이것이 특징으로 기억하는 것입니다.”
“일찍이 잊었던 것을 기억하는 것은 어떤 것입니까?”
“비유하자면 사람이 죽게 되면 잊히게 됩니다. 자주자주 혼자 생각해서 이를 기억하게 되는 것이 일찍이 잊었던 것을 기억하는 것입니다.”
“기호에 대해 기억을 하는 것은 어떤 것입니까?”
“글을 배우는 사람은 글자의 차례를 압니다. 이것이 기호에 대해 기억하는 것입니다.”
“산술에 대해 기억하는 것은 어떤 것입니까?”
“사람이 함께 요량하여 성취하면 그 모든 책술(策術)을 알아서 분명하게 됩니다. 이것이 산술에 대해 기억하는 것입니다.”
왕이 또 나선에게 물었다.
“빚진 것에 대해 기억을 한다는 것은 어떤 것입니까?”
“사람이 빚이 있으면 마땅히 갚아야 합니다. 이것이 빚진 것이 기억이 되는 것입니다.”
“일심(一心)이 기억이 되는 것은 어떤 것입니까?”
“사문은 일심으로 여러 생을 내려오면서 수천억 세의 일들을 스스로 생각합니다. 이것을 나는 일심이 기억이 되는 것이라고 합니다.”
“독서가 기억이 된다는 것은 어떤 것입니까?”
“임금이 옛날 책을 가지고 있는데 이 책이 어느 임금 어느 신하 때의 책인 것이라고 기억하여 말합니다. 이것이 독서가 기억이 되는 것입니다.”
“일찍이 부탁받은 것이 있어 다시 보게 되어 기억을 한다는 것은 어떤 것입니까?”
“사람이 부탁받은 것이 있었는데 이를 눈으로 보고 문득 생각하게 됩니다. 이것이 부탁받은 일이 기억이 되는 것입니다.”
“과연 그렇습니다.”
왕이 나선에게 다시 물었다.
“부처님께서는 과거의 일과 처음 시작하는 미래의 일들을 다 알고 계십니까?”
“그렇습니다. 부처님께서는 다 알고 계십니다.”
“가령 부처님께서 모든 일들을 알고 계신다면 어찌하여 한 번에 제자들을 가르치시지 않습니까? 왜 조금씩 가르치십니까?”
나선이 왕에게 물었다.
“나라 안에 의사가 있습니까, 없습니까?”
“의사가 있습니다.”
“그 의사는 천하의 모든 약들에 대해 다 알고 있습니까?”
“그 의사는 모든 약들에 대해 알고 있습니다.”
“그 의사가 사람의 병을 치료하면서 한 번에 약을 다 줍니까, 조금씩 줍니까?”
“아직 병이 들지 않았는데 미리 약을 줄 수는 없습니다. 병이 들어야 약을 줍니다.”
“부처님께서는 과거와 현재의 모든 일들을 알고 계십니다. 그러나 한 번에 천하의 사람들을 다 가르칠 수는 없는 것입니다. 당연히 조금씩 가르침과 계율을 주어서 이를 봉행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과연 그렇습니다.”
왕이 나선에게 다시 물었다.
“대사와 같은 사문들은 말하기를 ‘사람이 세간에서 나쁜 짓을 많이 해도 임종에 당해서 염불을 하면 사후에 천상에 태어난다’고 합니다. 나는 이 말을 믿지 않습니다. 또한 말하기를 ‘한 생명을 살생해도 죽은 후에 지옥에 들어간다’고 합니다. 나는 이 말을 믿지 않습니다.”
나선이 왕에게 물었다.
“사람이 작은 돌을 물 위에 놓으면 그 돌이 뜹니까, 가라앉습니까?”
“그 돌은 가라앉습니다.”
“백 개의 큰 돌을 배 위에 놓으면 그 배가 가라앉습니까?”
“가라앉지 않습니다.”
“배 위에 있는 백 개의 큰 돌은 배 위에 있기 때문에 가라앉지 않는 것입니다. 사람이 비록 본래 악해도 일시에 염불을 하면 이로 인해 지옥에 들어가지 않고 천상에 태어나는 것입니다. 작은 돌이 물에 가라앉는 것은 사람이 나쁜 짓을 하고서도 부처님의 가르침을 몰라서 죽은 후에 지옥에 들어가는 것과 같은 것입니다.”
“과연 그렇습니다.”
왕이 나선에게 다시 물었다.
“대사께서는 어떤 연고로 도를 배우고 사문이 되셨습니까?”
“나는 과거의 고(苦)와 현재의 고와 앞으로 닥쳐올 고를 버리고, 다시 이 여러 고들을 받지 않으려고 도를 배워 사문이 되었습니다.”
왕이 나선에게 다시 물었다.
“고는 내세에 있는데 어찌하여 미리 도를 배우고 사문이 됩니까?”
나선이 왕에게 물었다.
“대왕께서는 적국이나 원수진 집이 있다면 서로 공격하려 하지 않겠습니까?”
“그렇습니다. 적국이나 원수진 집이 있다면 항상 서로 공격하려 할 것입니다.”
“대왕께서는 적군의 왕이 올 때에 당해서 전투에 필요한 도구를 준비하고 수비를 하고 참호를 팝니까? 미리 준비를 합니까?”
“마땅히 미리 준비해야 합니다.”
“어찌하여 미리 준비를 합니까?”
“적이 언제 올지 모르기 때문에 준비하는 것입니다.”
“적이 미래에 올 텐데 왜 미리 준비합니까?”
나선이 왕에게 다시 물었다.
“배고플 때 씨를 뿌리고 목마를 때 우물을 파지, 무엇 때문에 미리 준비하겠습니까?”
“과연 그렇습니다.”
왕이 나선에게 다시 물었다.
“제7범천(梵天)이 있는 곳은 어디입니까?”
“매우 먼 곳에 있습니다. 대왕의 궁전에 큰 돌과 같은 것을 제7범천에서 떨어뜨리면 6일 동안 떨어진 후에 땅에 닿습니다.”
“대사와 같은 사문들은 말하기를 ‘나한도(羅漢道)를 성취하면 사람이 팔을 굽혔다 폈다 하는 사이에 날아서 제7범천에 닿는다’고 합니다.”
왕이 말했다.
“나는 이 말을 믿지 않습니다. 수천만억 리를 가야 하는데 어떻게 그렇게 빠를 수가 있겠습니까?”
나선이 왕에게 물었다.
“대왕께서는 본래 어느 나라에서 태어나셨습니까?”
“나는 본래 대진국(大秦國)에서 태어났습니다. 나라 이름은 아려산입니다.”
“아려산에 가려면 여기서 몇 리나 됩니까?”
왕이 대답했다.
“2천 유순(由旬)으로 합하면 8만 리가 됩니다.”
“대왕께서는 일찍이 여기서 멀리에 있는 본국의 일에 대해 생각해보신 일이 있습니까?”
“그렇습니다. 항상 본국의 일에 대해 생각합니다.”
“대왕께서 본국의 일을 다시 생각하려고 하면 어떻게 합니까?”
“나는 즉시 그것을 생각합니다.”
“대왕께서는 8만 리를 갔다 오시는데 어떻게 그리 빨리 갔다 오십니까?”
“과연 그렇습니다.”
왕이 나선에게 다시 물었다.
“만일 두 사람이 동시에 죽었다고 합시다. 한 사람은 제7범천에 가서 태어나고, 한 사람은 계빈(罽賓)에 태어난다면 계빈국은 7백20리를 가야 하는데 누가 먼저 도착하겠습니까?”
나선이 말했다.
“자, 아려국을 생각해 보십시오.”
“생각했습니다.”
“이번에는 계빈국을 생각해 보십시오.”
“생각했습니다.”
“이 양국 가운데 어느 곳에 빨리 갑니까?”
“똑같습니다.”
“두 사람이 동시에 죽어서 한 사람은 제7범천에 태어나고, 다른 한 사람은 계빈국에 태어나도 똑같습니다.”
“만일 한 쌍의 나는 새가 있는데 한 마리는 높은 나무에 앉고, 한 마리는 낮은 나무에 앉는다면 어느 새의 그림자가 땅에 먼저 생기겠습니까?”
“그 그림자는 동시에 땅에 생깁니다.”
“두 사람이 동시에 죽었는데 한 사람은 제7범천에 태어나고, 한 사람은 계빈국에 태어난다면 그 도착하는 것도 같습니다.”
“과연 그렇습니다.”
왕이 나선에게 다시 물었다.
“사람은 몇 가지 일을 배워 도를 알게 됩니까?”
“사람은 일곱 가지 일을 배워 도를 압니다. 그 일곱 가지라는 것이 무엇인가 하면, 첫째는 선악에 대한 것을 생각하는 것입니다. 둘째는 정진(精進)이며, 셋째는 도를 좋아하는 것이며, 넷째는 좋은 일을 위해 뜻을 굽히는 것이며, 다섯째는 도를 생각하는 것이며, 여섯째는 한마음을 가지는 것이며, 일곱째는 미워하거나 사랑하는 것이 없는 것입니다.”
왕이 또 나선에게 물었다.
“사람은 이 일곱 가지 일을 배워야 도를 알게 되는 것입니까?”
“모두가 이 일곱 가지 일을 배워 도를 알게 되는 것은 아닙니다. 지혜가 있는 사람은 선악을 아는 것 그 한 가지를 가지고도 압니다.”
“하나를 가지고도 안다면 어찌하여 일곱 가지를 말씀하시는 것입니까?”
나선이 왕에게 물었다.
“사람이 칼을 칼집에 든 채 잡고서 벽에다 대면 그 칼이 부러질 수 있습니까?”
“부러질 수 없습니다.”
“사람이 비록 명철해도 이 여섯 가지를 행해야 지혜를 성취하게 되는 것입니다.”
“과연 그렇습니다.”
왕이 나선에게 다시 물었다.
“사람이 집에서 착한 일을 해서 복을 얻는 것이 큽니까, 악한 일을 해서 재앙을 얻는 것이 큽니까?”
“사람이 착한 일을 해서 복을 얻는 것이 큽니다. 악한 일을 해서 재앙을 얻는 것은 적습니다. 사람이 집에서 악한 일을 해도 매일매일 스스로 이를 참회해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그 잘못은 날로 작아집니다. 사람이 집에서 착한 일을 하면 매일 밤 이를 기쁘게 생각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복을 얻는 것이 커집니다.”
“옛날 부처님이 살아계실 때 그 나라 안에 손발이 없는 사람이 있었습니다. 그런데도 연꽃을 꺾어서 부처님께 올렸습니다. 부처님께서는 여러 비구들에게, ‘이 손발이 없는 사람은 죽어서 91겁 후에 지옥이나 축생이나 아귀도 중에 태어나지 않으며 천상에 태어나리라. 천상에서 그 명을 다한 후에는 다시 사람으로 태어나리라’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러므로 나는 착한 일을 적게 해도 복은 크게 받는다는 것을 압니다. 악한 일을 한 사람이 스스로 참회하면 그잘못은 매일매일 소멸해서 다 없어지게 됩니다. 그러므로 잘못을 해도 그 재앙은 적어진다고 알고 있습니다.”
“과연 그렇습니다.”
왕이 나선에게 다시 물었다.
“지혜 있는 사람이 악한 일을 하는 것과 어리석은 사람이 악한 일을 하는 것 중에서 어느 쪽이 재앙을 더 많이 받습니까?”
“어리석은 사람이 악한 일을 할 때 재앙을 더 많이 받습니다. 지혜 있는 사람이 악한 일을 하면 재앙을 적게 받습니다.”
“대사께서 하시는 말씀을 잘 모르겠습니다.”
왕이 말했다.
“내가 나라를 다스릴 때 대신이 죄를 지으면 그 죄를 중하게 다스립니다. 백성이 죄를 지으면 그 죄를 가볍게 다스립니다. 그렇기 때문에 나는 지혜 있는 사람이 악한 일을 하면 그 재앙이 크고, 어리석은 사람이 악한 일을 하면 그 재앙이 적으리라고 봅니다.”
나선이 왕에게 물었다.
“비유하자면 불에 달궈진 철이 땅에 있는데 한 사람은 불에 달궈진 철이라는 것을 알고 한 사람은 모릅니다. 두 사람이 동시에 불에 달궈진 철을 잡을 때 어느 쪽이 손을 더 많이 데이겠습니까?”
“모르는 쪽이 손을 데입니다.”
“그 몸과 입을 잘 제어하지 못하면 경계(經戒)도 잘 견지하지 못합니다. 이와 같은 사람들은 그 몸도 좋아하지 않습니다.”
나선이 말했다.
“도를 배우는 사람은 그 몸과 입을 잘 제어하고 능히 그 경계(經戒)를 잘 견지하여 그 한마음으로 4선(禪)을 성취합니다. 그리하여 헐떡거리지 않습니다.”
“과연 그렇습니다.”
왕이 나선에게 다시 물었다.
“우리가 바다라고 부를 때 이 바다는 물 때문에 바다라고 하는 것입니까, 아니면 다른 것 때문에 바다라고 하는 것입니까?”
“사람이 바다라고 부르는 까닭은 물과 염분이 각각 반씩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바다라고 부릅니다.”
“어찌하여 바다는 모두 짜고 소금 맛을 가지고 있습니까?”
“바다가 짠 이유는 담축(啖畜) 이래 오래 됐습니다. 또한 물고기와 자라와 벌레들이 많이 물 속에 잠겨 있기 때문에 짭니다.”
“과연 그렇습니다.”
왕이 나선에게 다시 물었다.
“사람이 도를 성취하고 나면 심오한 여러 가지 일을 다 생각할 수 있습니까?”
“그렇습니다. 사람이 도를 성취하고 나면 심오한 일들을 다 생각할 수 있습니다. 부처님의 경전은 가장 심오하여 여러 가지 일들을 다 알고 있습니다. 그 여러 가지 일들을 이루 헤아릴 수 없습니다. 지혜로 그 여러 가지 일들을 판단합니다.”
“과연 그렇습니다.”
왕이 나선에게 다시 물었다.
“명기(命氣)와 지혜와 자연의 이 세 가지는 같은 것입니까, 다른 것입니까?”
“명기에서 깨달음이 나옵니다. 지혜에서 도가 나옵니다. 자연은 허공으로서 거기에는 사람의 정신은 없습니다.”
왕이 또 나선에게 물었다.
“사람들이 말하기를 ‘사람에 대하여 깨닫는다’고 합니다. 이 사람에 대하여 깨닫는다고 하는 것은 어떤 것입니까? 지금 눈으로 물건을 보고, 귀로 소리를 듣고, 코로 냄새를 맡고, 입으로 맛을 알고, 몸으로 부드럽고 거친 것을 알며, 뜻으로 선악에 대한 일을 압니다. 사람에 대하여 깨닫는 것은 어디에서 합니까?”
“어리석은 사람은 악한 일을 하고도 참회할 줄 모르기 때문에 재앙이 큽니다. 지혜가 있는 사람은 악한 일을 하면 그것을 하면 안 된다는 것을 알아서 매일 참회하기 때문에 재앙이 적어집니다.”
“과연 그렇습니다.”
왕이 나선에게 다시 물었다.
“사람이 이 몸으로 날아서 제7범천에도 이를 수 있고, 또 울단왈(鬱單曰)에도 이를 수 있고, 또한 가고 싶은 곳에 갈 수 있습니까?”
“갈 수 있습니다.”
“어떻게 이 몸을 가지고 제7범천이나 울단왈에나 또는 원하는 곳에 갈 수가 있습니까?”
“대왕께서는 어렸을 때 땅에서 일장(一丈)을 뛰려고 생각하신 일이 없습니까?”
“내가 어렸을 때 뛰려고 생각한 일이 있습니다. 땅에서 일장을 뛰려고 했습니다.”
“도를 성취한 사람이 제7범천에 뛰어 오르려고 하는 것이나 울단왈에 이르려고 하는 것도 이와 같습니다.”
“과연 그렇습니다.”
왕이 나선에게 다시 물었다.
“대사와 같은 사문들은 뼈의 길이가 4천 리가 된다고 말합니다. 어떻게 몸의 뼈의 길이가 4천 리가 됩니까?”
“대왕께서는 일찍이 큰 바다 가운데 질(質)이라는 이름의 큰 물고기가 있는데 그 몸의 길이가 2만 8천 리가 된다고 들으신 일이 있습니까?”
“그렇습니다. 나도 일찍이 그것에 대해 들었습니다.”
“그와 같이 2만 8천 리가 되는 물고기의 갈비뼈 길이가 4천 리라면 대왕께서는 이를 이상하게 생각하시겠습니까?”
왕이 나선에게 다시 물었다.
“대사와 같은 사문들은 ‘나는 숨을 헐떡거리는 일을 멈출 수가 있다’고 합니다.”
“어떻게 숨이 헐떡거리는 일을 멈출 수가 있습니까?”
나선이 왕에게 물었다.
“일찍이 마음[志]이라는 것에 대해 들어본 일이 있으십니까?”
“들어본 일이 있습니다.”
“대왕께서는 마음이 사람의 몸속에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나는 마음이 사람의 몸속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대왕께서는 어리석은 사람은 그렇지 않다고 생각하십니다.”
나선이 왕에게 물었다.
“사람이 능히 눈으로 본다면 눈동자를 빼서 이를 멀리해서 보면 더 넓게 멀리 볼 수 있지 않습니까? 귀를 찢어서 소리를 들으면 더 넓게 멀리 들을 수 있지 않습니까? 코를 터트려서 향기를 맡으면 더 많이 맡을 수 있지 않습니까? 입술과 입으로 맛을 알면 더 많이 알지 않습니까? 살갗을 찢으면 거칠고 부드러운 것을 더 잘 알 수 있지 않습니까? 그 의식을 뽑아서 거기에 생각을 담으면 더 많이 담을 수 있지 않습니까?”
“그렇지 않습니다.”
“부처님께서 하신 일은 매우 어렵고, 부처님께서 아시는 바는 매우 미묘합니다.”
왕이 나선에게 다시 물었다.
“부처님께서 하신 일이 어떻게 어렵고 어떻게 미묘합니까?”
부처님께서는 사람의 마음속을 통찰하시니 눈으로 볼 수 없는 것을 아시고, 그것을 다 이해하십니다. 눈에 관한 일을 다 아시며, 귀에 관한 일을 다 아시고, 코에 관한 일을 다 아시고, 입에 관한 일을 다 아시며, 몸에 관한 일을 다 아시고, 장사[販事]에 관한 일도 다 아시고, 그 생각하는 일에 대해서도 다 아시고, 정신에 대한 일도 다 아십니다.”
나선이 물었다.
“사람이 바닷물을 취해서 입에 머금으면 이것은 어느 샘의 물이며, 이것은 어느 개울의 물이며, 이것은 어느 강의 물이라고, 입 안의 물을 구별해서 알 수 있습니까?”
“여러 종류의 물이 합해서 하나가 되었기 때문에 각각 구별하기가 어렵습니다.”
“부처님께서 하신 바는 매우 어려운 것으로 각각 구별해서 아시는 것입니다. 그러나 사람의 정신으로는 사람의 몸속에 있는 여섯 가지 일을 볼 수가 없는 것입니다.”
“그런데 부처님께서는 이것을 아십니다. 마음으로 생각하는 대로 따르면 눈으로 보는 데에 이르고, 마음으로 생각하는 대로 따르면 듣는 데에 이르고, 마음으로 생각하는 대로 따르면 코로 냄새 맡는 데에 이르고, 마음으로 생각하는 대로 따르면 입으로 맛보는 데에 이르고, 마음으로 생각하는 대로 따르면 몸이 괴로움과 즐거움과 춥고 따뜻하고 거칠고 단단한 것을 아는 데에 이르러서 마음으로 생각하는 대로 따라 그 향하는 바가 있으면 부처님께서는 그것들을 분별해서 아시는 것입니다.”
“과연 그렇습니다.”
“밤이 깊었습니다. 나는 이제 돌아가야 하겠습니다.”
왕은 즉시 옆에 있는 신하에게 명을 내려 4단(端)의 직물을 취해서 이를 기름에 담가 횃불을 만들도록 했다. 나선이 돌아가는데 배웅하되 그 공경하는 것을 왕에게 하듯 하라고 하니 옆에 있는 신하들이 모두 왕의 명령을 받들겠다고 했다. 왕이 말했다.
“스승을 모시되 나선대사 같은 분을 모시고, 제자를 두되 나 같은 사람을 두면 도를 빨리 성취할 수 있으리라.”
왕이 묻는 여러 가지 질문에 나선이 즉시 대답하니 왕은 크게 기뻐했다. 왕은 즉시 창고에서 10만에 해당하는 좋은 옷을 꺼내서 나선에게 올리고 나선에게 말했다.
“이제 가신 뒤에 어느 날 나선대사께서 8백의 사문과 함께 오셔서 궁중에서 공양을 드시면 좋겠습니다. 또 원하시는 것이 있으시면 제가 다 드리겠습니다.”
나선이 왕에게 대답하였다.
“나는 도를 닦는 사람입니다. 원하는 것이 없습니다.”
“나선대사께서는 자신을 보호하셔야 하고, 나도 내 몸을 보호하여야 합니다.”
나선이 물었다.
“내 몸을 보호하여야 한다는 것은 어떤 것이며, 또 대왕의 몸을 보호하여야 한다고 하는 것은 어떤 것입니까?”
“나선대사께서 여러 가지 의문을 다 풀어주셨는데도 왕이 아무 것도 하사하지 않는다면 왕이 인색하다고 사람들이 수근거릴까 두렵습니다. 또 혹은 나선대사께서 왕의 의문을 풀어주시지 않았기 때문에 왕이 아무 상도 내리지 않았다고 사람들이 수군거릴까 두렵습니다.”
“나선대사께서 받으시는 것이 나에게 복을 받게 하시는 것이고, 나선대사 역시 그 이름을 보호하실 수 있는 것입니다.”
“비유하자면 사자가 우리 속에 갇혀 있기 때문에 항상 그곳을 벗어나고 싶어하는 것처럼 나도 지금 나라를 위해 성 안에 있지만 그 마음은 기쁘지 않습니다. 나라를 벗어나 도를 배우고 싶습니다.”
왕이 말을 마치자 나선은 즉시 절로 돌아갔다. 나선이 돌아간 후 왕은 남몰래 혼자서 ‘나는 나선대사에게 어떤 일들을 물었으며, 나선대사는 나를 위해 어떤 일들에 대해 어떻게 대답해주었나’ 하고 생각했다. 왕은 또 ‘나의 의문에 대해 나선대사가 대답을 못해 준 것이 하나도 없구나’ 하고 생각하였다. 나선 역시 절에 돌아가서 ‘왕이 나에게 어떤 것을 물었으며, 나는 어떻게 대답하였나’ 하고 혼자 생각하였다. 나선은 ‘왕의 의문을 내가 모두 풀어주었구나’ 하고 혼자 생각하였다. 이런 생각들을 하다가 날이 밝았다.
다음날 나선은 가사를 입고 발우를 들고 왕의 궁전에 들어가 왕의 전각에 올라앉았다. 왕은 나선에게 예를 올린 후 물러나 앉았다. 왕이 나선에게 말했다.
“나선대사께서 가신 후 나는 혼자 생각하였습니다. 대사께 무엇을 물었으며, 대사께서 어떻게 대답해 주셨나에 대해서 생각했습니다. 내가 물은 것에 대해 대사께서 모든 의문을 풀어주신 것도 생각했습니다. 이런 것을 생각하며 기쁘고 안심되어 누웠는데 날이 밝았습니다.”
나선이 말했다.
“나도 절에 돌아가서 생각하였습니다. 대왕께서 나에게 어떤 것에 대해 물었으며, 내가 어떻게 대답하였나를 생각하였습니다. 나는 또 생각하기를 대왕의 물음에 대해 내가 즉시 의문을 풀어주었다고 생각하였습니다. 이런 생각으로 기뻤는데 날이 밝았습니다.”
말을 마치자 나선이 돌아가려고 하였고, 왕은 즉시 일어나 나선에게 예를 올렸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