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face 서문
Thus I have heard. At one time the Buddha was staying in the land of the Kurus, near the Kurus town named Kammāsadamma. There the Buddha addressed the mendicants, “Mendicants!”
“Venerable sir,” they replied. The Buddha said this: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한 때 세존께서는 꾸루 지방의 깜맛사담마라는 꾸루족들의 타운에 머무셨다. 그곳에서 세존께서는 “비구들이여”라고 비구들을 부르셨다. “세존이시여”라고 비구들은 세존께 응답했다. 세존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셨다.
Mendicants, the four kinds of mindfulness meditation are the path to convergence. They are in order to purify sentient beings, to get past sorrow and crying, to make an end of pain and sadness, to discover the system, and to realize extinguishment.
비구들이여, 이 도는 유일한 길이니 중생들의 청정을 위하고 근심과 탄식을 다 건너기 위한 것이며, 육체적 고통과 정신적 고통을 사라지게 하고 옳은 방법을 터득하고 열반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다. 그것은 바로 ‘네 가지 마음챙김의 확립[四念處]’이다.
What are the four?
It’s when a mendicant meditates by observing an aspect of the body—keen, aware, and mindful, rid of covetousness and displeasure for the world.
They meditate observing an aspect of feelings—keen, aware, and mindful, rid of covetousness and displeasure for the world.
They meditate observing an aspect of the mind—keen, aware, and mindful, rid of covetousness and displeasure for the world.
They meditate observing an aspect of dhamma—keen, aware, and mindful, rid of covetousness and displeasure for the world.
무엇이 네 가지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身隨觀] 머문다. 세상에 대한 욕심과 싫어하는 마음을 버리면서 근면하게, 분명히 알아차리고 마음챙기는 자 되어 머문다.
느낌에서 느낌을 관찰하며[受隨觀] 머문다. 세상에 대한 욕심과 싫어하는 마음을 버리면서 근면하게, 분명히 알아차리고 마음챙기는 자 되어 머문다.
마음에서 마음을 관찰하며[心隨觀] 머문다. 세상에 대한 욕심과 싫어하는 마음을 버리면서 근면하게, 분명히 알아차리고 마음챙기는 자 되어 머문다.
법에서 법을 관찰하며[法隨觀] 머문다. 세상에 대한 욕심과 싫어하는 마음을 버리면서 근면하게, 분명히 알아차리고 마음챙기는 자 되어 머문다.
1. Observing the Body 몸의 관찰[身隨觀]
1-1. Mindfulness of Breathing
And how does a mendicant meditate observing an aspect of the body?
It’s when a mendicant—gone to a wilderness, or to the root of a tree, or to an empty hut—sits down cross-legged, sets their body straight, and establishes mindfulness in their presence.
Breathing in heavily they know: ‘I’m breathing in heavily.’ Breathing out heavily they know: ‘I’m breathing out heavily.’ The stages of breath meditation are not meant to be done deliberately, but to be observed and understood as the natural process of deepening meditation. When starting out, the breath is somewhat rough and coarse.
When breathing in lightly they know: ‘I’m breathing in lightly.’ Breathing out lightly they know: ‘I’m breathing out lightly.’ Over time, the breath becomes more subtle and soft.
They practice like this: ‘I’ll breathe in experiencing the whole body.’ They practice like this: ‘I’ll breathe out experiencing the whole body.
That’s how a mendicant meditates by observing an aspect of the body.
1-1. 들숨날숨에 대한 마음챙김
“비구들이여, 어떻게 비구가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머무는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가 숲 속에 가거나 나무 아래에 가거나 외진 처소에 가서 가부좌를 틀고 몸을 곧추세우고 전면에 마음챙김을 확립하여 앉는다. 그는 마음챙겨 숨을 들이쉬고 마음챙겨 숨을 내쉰다. 길게 들이쉬면서 ‘길게 들이쉰다’고 꿰뚫어 알고(pajānāti), 길게 내쉬면서 ‘길게 내쉰다’고 꿰뚫어 안다. 짧게 들이쉬면서 ‘짧게 들이쉰다’고 꿰뚫어 알고, 짧게 내쉬면서 ‘짧게 내쉰다’고 꿰뚫어 안다. ‘온 몸을 경험하면서 들이쉬리라’며 공부짓고(sikkhati) 온 몸을 경험하면서 내쉬리라’며 공부짓는다. ‘신행(身行)을 편안히 하면서 들이쉬리라’며 공부짓고 ‘신행을 편안히 하면서 내쉬리라’며 공부짓는다.”
1-2. The Body Postures
Furthermore, when a mendicant is walking they know: ‘I am walking.’ When standing they know: ‘I am standing.’ When sitting they know: ‘I am sitting.’ And when lying down they know: ‘I am lying down.’ It is practiced by developing a reflexive awareness of one’s posture and activity as it proceeds, often assisted by moving slowly and carefully.Whatever posture their body is in, they know it.
And so they meditate observing an aspect of the body internally, externally, and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They meditate observing the body as liable to originate, as liable to vanish, and as liable to both originate and vanish. Or mindfulness is established that the body exists, to the extent necessary for knowledge and mindfulness. They meditate independent, not grasping at anything in the world.
That too is how a mendicant meditates by observing an aspect of the body.
1-2. 네 가지 자세[四威儀]
“다시 비구들이여, 비구는 걸어가면서 ‘걷고 있다’고 꿰뚫어 알고, 서있으면서 ‘서있다’고 꿰뚫어 알며, 앉아있으면서 ‘앉아있다’고 꿰뚫어 알고, 누워있으면서 ‘누워있다’고 꿰뚫어 안다. 또 그의 몸이 다른 어떤 자세를 취하고 있든 그 자세대로 꿰뚫어 안다.”
“이와 같이 안으로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身隨觀] 머문다. … 그는 세상에서 아무 것도 움켜쥐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비구는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머문다.”
1-3. Situational Awareness
Furthermore, a mendicant acts with situational awareness when going out and coming back; when looking ahead and aside; when bending and extending the limbs; when bearing the outer robe, bowl, and robes; when eating, drinking, chewing, and tasting; when urinating and defecating; when walking, standing, sitting, sleeping, waking, speaking, and keeping silent. “Situational awareness” (sampajañña) understands the context and purpose of activities.
The main examples here illustrate the activities of daily monastic life: leaving the monastery on alms round, restraint while in the town, care wearing the robes, then mindfully eating and going to the toilet.
And so they meditate observing an aspect of the body internally …
That too is how a mendicant meditates by observing an aspect of the body.
1-3. 분명하게 알아차림
“다시 비구들이여, 비구는 나아갈 때도 물러날 때도 [자신의 거동을] 분명히 알면서[正知] 행한다(sampajāna-kāri). 앞을 볼 때도 돌아 볼 때도 분명히 알면서 행한다. 구부릴 때도 펼 때도 분명히 알면서 행한다. 가사·발우·의복을 지닐 때도 분명히 알면서 행한다. 먹을 때도 마실 때도 씹을 때도 맛볼 때도 분명히 알면서 행한다. 대소변을 볼 때도 분명히 알면서 행한다. 걸으면서·서면서·앉으면서·잠들면서·잠을 깨면서·말하면서·침묵하면서도 분명히 알면서 행한다.”
“이와 같이 안으로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身隨觀] 머문다. … 그는 세상에 대해서 아무 것도 움켜쥐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비구는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머문다.”
1-4. Focusing on the Repulsive
Furthermore, a mendicant examines their own body, up from the soles of the feet and down from the tips of the hairs, wrapped in skin and full of many kinds of filth.
In this body there is head hair, body hair, nails, teeth, skin, flesh, sinews, bones, bone marrow, kidneys, heart, liver, diaphragm, spleen, lungs, intestines, mesentery, undigested food, feces, bile, phlegm, pus, blood, sweat, fat, tears, grease, saliva, snot, synovial fluid, urine.’
It’s as if there were a bag with openings at both ends, filled with various kinds of grains, such as fine rice, wheat, mung beans, peas, sesame, and ordinary rice.
And a person with clear eyes were to open it and examine the contents: ‘These grains are fine rice, these are wheat, these are mung beans, these are peas, these are sesame, and these are ordinary rice.’ The “bag with openings at both ends” is the body. Not all the varieties of grains and beans can be positively identified.
And so they meditate observing an aspect of the body internally …
That too is how a mendicant meditates by observing an aspect of the body.
1-4. 몸의 32가지 부위에 대한 혐오
더욱이, 비구는 발바닥부터 털끝까지 자신의 몸을 살핀다. 살갗에 싸여 온갖 더러운 것으로 가득 찬 자신의 몸을 말한다.
'이 몸에는 머리카락, 체모, 손톱, 이빨, 피부, 살, 힘줄, 뼈, 골수, 신장, 심장, 간, 횡격막, 비장, 폐, 장, 장간막, 소화되지 않은 음식, 대변, 담즙, 가래, 고름, 혈액, 땀, 지방, 눈물, 기름, 침, 콧물, 활액, 소변이 있다.'
마치 양쪽 끝에 구멍이 있는 자루가 있는 것과 같다. 그 안에는 고운 쌀, 밀, 녹두, 완두콩, 참깨, 그리고 보통 쌀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곡물이 들어 있다. 그리고 맑은 눈을 가진 사람이 그것을 열고 내용물을 살펴보는 것과 같다. '이것들은 고운 쌀이고, 이것들은 밀이고, 이것들은 녹두이고, 이것들은 완두콩이고, 이것들은 참깨이고, 이것들은 보통 쌀이다.' "양쪽에 구멍이 있는 자루"는 바로 몸이다. 모든 종류의 곡물과 콩을 명확하게 식별할 수는 없다.
“이와 같이 안으로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身隨觀] 머문다. … 그는 세상에 대해서 아무 것도 움켜쥐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비구는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머문다.”
1-5. Focusing on the Elements
The “elements” are the four states of matter as represented by their primary material example and their dominant property: earth as a solid with the property of resisting or upholding; water as a liquid with the property of binding; air as a gas with the property of movement; and fire (“heat” or “energy”) as plasma with the property of transformation.
It’s as if a deft butcher or butcher’s apprentice were to kill a cow and sit down at the crossroads with the meat cut into chops.
And so they meditate observing an aspect of the body internally …
That too is how a mendicant meditates by observing an aspect of the body.
1-5. 네 가지 근본물질[四大]
“다시 비구들이여, 비구는 이 몸을 처해진 대로 놓여진 대로 요소[界]별로 고찰한다. ‘이 몸에는 땅[地]의 요소, 물[水]의 요소, 불[火]의 요소, 바람[風]의 요소가 있다’고.
비구들이여, 마치 솜씨 좋은 백정이나 그 조수가 소를 잡아서 각을 뜬 다음 큰길 네 거리에 이를 벌려놓고 앉아있는 것과 같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비구는 이 몸을 처해진 대로 놓여진 대로 요소[界]별로 고찰한다. ‘이 몸에는 땅의 요소, 물의 요소, 불의 요소, 바람의 요소가 있다’고.”
“이와 같이 안으로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身隨觀] 머문다. … 그는 세상에 대해서 아무 것도 움켜쥐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비구는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머문다.”
1-6. The Charnel Ground Contemplations
Furthermore, suppose a mendicant were to see a corpse discarded in a charnel ground. And it had been dead for one, two, or three days, bloated, livid, and festering.
‘This body is also of that same nature, that same kind, and cannot go beyond that.’ And so they meditate observing an aspect of the body internally …
That too is how a mendicant meditates by observing an aspect of the body.
Furthermore, suppose they were to see a corpse discarded in a charnel ground being devoured by crows, hawks, vultures, herons, dogs, tigers, leopards, jackals, and many kinds of little creatures. They’d compare it with their own body: ‘This body is also of that same nature, that same kind, and cannot go beyond that.’ And so they meditate observing an aspect of the body internally …
That too is how a mendicant meditates by observing an aspect of the body.
Furthermore, suppose they were to see a corpse discarded in a charnel ground, a skeleton with flesh and blood, held together by sinews …
A skeleton without flesh but smeared with blood, and held together by sinews …
A skeleton rid of flesh and blood, held together by sinews …
Bones rid of sinews, scattered in every direction. Here a hand-bone, there a foot-bone, here an ankle bone, there a shin-bone, here a thigh-bone, there a hip-bone, here a rib-bone, there a back-bone, here an arm-bone, there a neck-bone, here a jaw-bone, there a tooth, here the skull. …
White bones, the color of shells …
Decrepit bones, heaped in a pile …
Bones rotted and crumbled to powder. It takes decades for bones to rot to powder, again suggesting it is an imaginative contemplation.They’d compare it with their own body: ‘This body is also of that same nature, that same kind, and cannot go beyond that.’ And so they meditate observing an aspect of the body internally, externally, and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They meditate observing the body as liable to originate, as liable to vanish, and as liable to both originate and vanish. Or mindfulness is established that the body exists, to the extent necessary for knowledge and mindfulness. They meditate independent, not grasping at anything in the world.
That too is how a mendicant meditates by observing an aspect of the body.
1-6. 아홉 가지 공동묘지(화장터)의 관찰
“다시 비구들이여, ① 비구는 마치 묘지에 버려진, 죽은 지 하루나 이틀 또는 사흘 된 시체가 부풀고 검푸르게 되고 문드러지는 것을 보게 될 것이다. 그는 자신의 몸을 그에 비추어 바라본다(upasamharati). ‘이 몸 또한 그와 같고, 그와 같이 될 것이며, 그에서 벗어나지 못하리라’고.”
“이와 같이 안으로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身隨觀] 머문다. … 그는 세상에 대해서 아무 것도 움켜쥐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비구는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머문다.”
“다시 비구들이여, ② 비구는 마치 묘지에 버려진 시체를 까마귀가 마구 쪼아 먹고, 솔개가 마구 쪼아 먹고, 독수리가 마구 쪼아 먹고, 개가 마구 뜯어먹고, 자칼이 마구 뜯어먹고, 수없이 많은 갖가지 벌레들이 덤벼들어 파먹는 것을 보게 될 것이다. 그는 자신의 몸을 그에 비추어 바라본다. ‘이 몸 또한 그와 같고, 그와 같이 될 것이며, 그에서 벗어나지 못하리라’고.”
“이와 같이 안으로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身隨觀] 머문다. … 그는 세상에 대해서 아무 것도 움켜쥐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비구는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머문다.”
다시 비구들이여, ③ 비구는 마치 묘지에 버려진 시체가 해골이 되어 살과 피가 묻은 채 힘줄로 얽히어 서로 이어져 있는 것을 보게 될 것이다 … ④ 해골이 되어 살은 없이 피만 엉긴 채 힘줄로 얽히어 서로 이어져 있는 것을 보게 될 것이다 … ⑤ 해골이 되어 살과 피는 없고 힘줄만 남아 서로 이어져 있는 것을 보게 될 것이다 … ⑥ 해골이 되어 힘줄도 사라지고 뼈들이 흩어져서 여기에는 손뼈, 저기에는 발뼈, 또 저기에는 정강이뼈, 저기에는 넓적다리뼈, 저기에는 엉덩이뼈, 저기에는 등뼈, 저기에는 갈빗대, 저기에는 가슴뼈, 저기에는 팔뼈, 저기에는 어깨뼈, 저기에는 목뼈, 저기에는 턱뼈, 저기에는 치골, 저기에는 두개골 등이 사방에 널려있는 것을 보게 될 것이다. 그는 자신의 몸을 그에 비추어 바라본다. ‘이 몸도 또한 그와 같고, 그와 같이 될 것이며, 그에서 벗어나지 못하리라’고.
“이와 같이 안으로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身隨觀] 머문다. … 그는 세상에 대해서 아무 것도 움켜쥐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비구는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머문다.”
“다시 비구들이여, ⑦ 비구는 마치 묘지에 버려진 시체가 해골이 되어 뼈가 조개껍질 색깔같이 하얗게 백골이 된 것을 보게 될 것이다 … ⑧ 해골이 되어 풍상을 겪어 단지 뼈 무더기가 되어 있는 것을 보게 될 것이다 … ⑨ 해골이 되었다가 다시 삭아서 티끌로 변한 모습을 보게 될 것이다. 그는 자신의 몸을 그에 비추어 바라본다. ‘이 몸도 또한 그와 같고, 그와 같이 될 것이며, 그에서 벗어나지 못하리라’고.”
“이와 같이 안으로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身隨觀] 머문다. 혹은 밖으로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안팎으로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몸에서 일어나는 현상[法]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몸에서 사라지는 현상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몸에서 일어나기도 하고 사라지기도 하는 현상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그는 ‘몸이 있구나’라고 마음챙김을 잘 확립하나니 지혜만이 있고 마음챙김만이 현전할 때까지. 이제 그는 [갈애와 사견에] 의지하지 않고 머문다. 그는 세상에 대해서 아무 것도 움켜쥐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비구는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머문다.”
2. Observing the Feelings
And how does a mendicant meditate observing an aspect of feelings? Literally “a feeling among the feelings”; the practice shows that the meditator contemplates specific feelings as they occur.
It’s when a mendicant who feels a pleasant feeling knows: ‘I feel a pleasant feeling.’
When they feel a painful feeling, they know: ‘I feel a painful feeling.’
When they feel a neutral feeling, they know: ‘I feel a neutral feeling.’
When they feel a pleasant feeling of the flesh, they know: ‘I feel a pleasant feeling of the flesh.’
When they feel a pleasant feeling not of the flesh, they know: ‘I feel a pleasant feeling not of the flesh.’
When they feel a painful feeling of the flesh, they know: ‘I feel a painful feeling of the flesh.’
When they feel a painful feeling not of the flesh, they know: ‘I feel a painful feeling not of the flesh.’ This would include the feelings of loss, doubt, and dejection that can occur during the spiritual path.
When they feel a neutral feeling of the flesh, they know: ‘I feel a neutral feeling of the flesh.’
When they feel a neutral feeling not of the flesh, they know: ‘I feel a neutral feeling not of the flesh.’
And so they meditate observing an aspect of feelings internally, externally, and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They meditate observing feelings as liable to originate, as liable to vanish, and as liable to both originate and vanish. Or mindfulness is established that feelings exist, to the extent necessary for knowledge and mindfulness. They meditate independent, not grasping at anything in the world.
That’s how a mendicant meditates by observing an aspect of feelings.
2. 느낌의 관찰[受隨觀]
“비구들이여, 어떻게 비구가 느낌에서 느낌을 관찰하며[受隨觀] 머무는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즐거운 느낌을 느끼면서 ‘즐거운 느낌을 느낀다’고 꿰뚫어 안다. 괴로운 느낌을 느끼면서 ‘괴로운 느낌을 느낀다’고 꿰뚫어 안다.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은 느낌을 느끼면서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은 느낌을 느낀다’고 꿰뚫어 안다.
세간적인 즐거운 느낌을 느끼면서 ‘세간적인 즐거운 느낌을 느낀다’고 꿰뚫어 안다. 출세간적인 즐거운 느낌을 … 세간적인 괴로운 느낌을 … 출세간적인 괴로운 느낌을 … 세간적인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은 느낌을 … 출세간적인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은 느낌을 느끼면서 ‘출세간적인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은 느낌을 느낀다’고 꿰뚫어 안다.”
“이와 같이 안으로 느낌에서 느낌을 관찰하며[受隨觀] 머문다. 혹은 밖으로 느낌에서 느낌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안팎으로 느낌에서 느낌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느낌에서 일어나는 현상[法]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느낌에서 사라지는 현상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느낌에서 일어나기도 하고 사라지기도 하는 현상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그는 ‘느낌이 있구나’라고 마음챙김을 잘 확립하나니 지혜만이 있고 마음챙김만이 현전할 때까지. 이제 그는 [갈애와 사견에] 의지하지 않고 머문다. 그는 세상에 대해서 아무 것도 움켜쥐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비구는 느낌에서 느낌을 관찰하며 머문다.”
3. Observing the Mind
And how does a mendicant meditate observing an aspect of the mind?
It’s when a mendicant understands mind with greed as ‘mind with greed,’
There is the simple happenstance of whether greed is present at that time or not. Then there is the mind freed of greed through the power of absorption. Finally there is the liberation from greed which comes with full awakening.and mind without greed as ‘mind without greed.’
They understand mind with hate as ‘mind with hate,’ and mind without hate as ‘mind without hate.’ They understand mind with delusion as ‘mind with delusion,’ and mind without delusion as ‘mind without delusion.’ They know constricted mind as ‘constricted mind,’
The mind is “constricted internally” due to dullness and “scattered externally” due to the distractions of desire and scattered mind as ‘scattered mind.’ They know expansive mind as ‘expansive mind,’
They know mind that is not supreme as ‘mind that is not supreme,’ and mind that is supreme as ‘mind that is supreme.’
They know mind immersed in samādhi as ‘mind immersed in samādhi,’ and mind not immersed in samādhi as ‘mind not immersed in samādhi.’
They know freed mind as ‘freed mind,’ and unfreed mind as ‘unfreed mind.’
And so they meditate observing an aspect of the mind internally, externally, and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They meditate observing the mind as liable to originate, as liable to vanish, and as liable to both originate and vanish. Or mindfulness is established that the mind exists, to the extent necessary for knowledge and mindfulness.
They meditate independent, not grasping at anything in the world.
That’s how a mendicant meditates by observing an aspect of the mind.
3. 마음의 관찰[心隨觀]
“비구들이여, 어떻게 비구가 마음에서 마음을 관찰하며[心隨觀] 머무는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① 탐욕이 있는 마음을 탐욕이 있는 마음이라 꿰뚫어 안다. 탐욕을 여읜 마음을 탐욕이 없는 마음이라 꿰뚫어 안다. ② 성냄이 있는 … 성냄을 여읜 … ③ 미혹이 있는 … 미혹을 여읜 … ④ 위축된 … 산란한 … ⑤ 고귀한 … 고귀하지 않은 … ⑥ [아직도] 위가 남아있는 … [더 이상] 위가 없는[無上心] … ⑦ 삼매에 든 … 삼매에 들지 않은 … ⑧ 해탈한 … 해탈하지 않은 마음을 해탈하지 않은 마음이라 꿰뚫어 안다.”
“이와 같이 안으로 마음에서 마음을 관찰하며[心隨觀] 머문다. 혹은 밖으로 마음에서 마음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안팎으로 마음에서 마음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마음에서 일어나는 현상[法]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마음에서 사라지는 현상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마음에서 일어나기도 하고 사라지기도 하는 현상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그는 ‘마음이 있구나’라고 마음챙김을 잘 확립하나니 지혜만이 있고 마음챙김만이 현전할 때까지.
이제 그는 [갈애와 사견에] 의지하지 않고 머문다. 그는 세상에 대해서 아무 것도 움켜쥐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비구는 마음에서 마음을 관찰하며 머문다.”
4. Observing Dhamma
4-1. The Hindrances
And how does a mendicant meditate observing an aspect of principles?
It’s when a mendicant meditates by observing an aspect of principles with respect to the five hindrances.
It’s when a mendicant who has sensual desire in them understands: ‘I have sensual desire in me.’ When they don’t have sensual desire in them, they understand: ‘I don’t have sensual desire in me.’
They understand how sensual desire arises; how, when it’s already arisen, it’s given up; and how, once it’s given up, it doesn’t arise again in the future.
When they have ill will in them, they understand: ‘I have ill will in me.’ When they don’t have ill will in them, they understand: ‘I don’t have ill will in me.’ They understand how ill will arises; how, when it’s already arisen, it’s given up; and how, once it’s given up, it doesn’t arise again in the future.
When they have dullness and drowsiness in them, they understand: ‘I have dullness and drowsiness in me.’ When they don’t have dullness and drowsiness in them, they understand: ‘I don’t have dullness and drowsiness in me.’ They understand how dullness and drowsiness arise; how, when they’ve already arisen, they’re given up; and how, once they’re given up, they don’t arise again in the future.
When they have restlessness and remorse in them, they understand: ‘I have restlessness and remorse in me.’ When they don’t have restlessness and remorse in them, they understand: ‘I don’t have restlessness and remorse in me.’ They understand how restlessness and remorse arise; how, when they’ve already arisen, they’re given up; and how, once they’re given up, they don’t arise again in the future.
When they have doubt in them, they understand: ‘I have doubt in me.’ When they don’t have doubt in them, they understand: ‘I don’t have doubt in me.’ They understand how doubt arises; how, when it’s already arisen, it’s given up; and how, once it’s given up, it doesn’t arise again in the future.
And so they meditate observing an aspect of principles internally, externally, and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They meditate observing the principles as liable to originate, as liable to vanish, and as liable to both originate and vanish. Or mindfulness is established that principles exist, to the extent necessary for knowledge and mindfulness. They meditate independent, not grasping at anything in the world.
That’s how a mendicant meditates by observing an aspect of principles with respect to the five hindrances.
4-1. 다섯 가지 장애[五蓋]
“비구들이여, 어떻게 비구가 법에서 법을 관찰하며[法隨觀] 머무는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다섯 가지 장애[五蓋]의 법에서 법을 관찰하며 머문다. 비구들이여, 어떻게 비구가 다섯 가지 장애의 법에서 법을 관찰하며 머무는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자기에게 감각 욕망이 있을 때 ‘내게 감각 욕망이 있다’고 꿰뚫어 알고, 감각 욕망이 없을 때 ‘내게 감각 욕망이 없다’고 꿰뚫어 안다. 비구는 전에 없던 감각 욕망이 어떻게 일어나는지 꿰뚫어 알고, 일어난 감각 욕망을 어떻게 제거하는지 꿰뚫어 알며, 어떻게 하면 제거한 감각 욕망이 앞으로 다시 일어나지 않는지 꿰뚫어 안다.
자기에게 악의가 있을 때 ‘내게 악의가 있다’고 꿰뚫어 알고, 악의가 없을 때 ‘내게 악의가 없다’고 꿰뚫어 안다. 비구는 전에 없던 악의가 어떻게 일어나는지 꿰뚫어 알고, 일어난 악의를 어떻게 제거하는지 꿰뚫어 알며, 어떻게 하면 제거 한 악의가 앞으로 다시 일어나지 않는지 꿰뚫어 안다.
자기에게 해태와 혼침이 있을 때 ‘내게 해태와 혼침이 있다’고 꿰뚫어 알고, 해태와 혼침이 없을 때 ‘내게 해태와 혼침이 없다’고 꿰뚫어 안다. 비구는 전에 없던 해태와 혼침이 어떻게 일어나는지 꿰뚫어 알고, 일어난 해태와 혼침을 어떻게 제거하는지 꿰뚫어 알며, 어떻게 하면 제거한 해태와 혼침이 앞으로 다시 일어나지 않는지 꿰뚫어 안다.
자기에게 들뜸과 후회가 있을 때 ‘내게 들뜸과 후회가 있다’고 꿰뚫어 알고, 들뜸과 후회가 없을 때 ‘내게 들뜸 과 후회가 없다’고 꿰뚫어 안다. 비구는 전에 없던 들뜸과 후회가 어떻게 일어나는지 꿰뚫어 알고, 일어난 들뜸과 후회를 어떻게 제거하는지 꿰뚫어 알며, 어떻게 하면 제거한 들뜸과 후회가 앞으로 다시 일어나지 않는지 꿰뚫어 안다.
자기에게 회의적 의심이 있을 때 ‘내게 의심이 있다’고 꿰뚫어 알고, 의심이 없을 때 ‘내게 의심이 없다’고 꿰뚫어 안다. 비구는 전에 없던 의심이 어떻게 일어나는지 꿰뚫어 알고, 일어난 의심을 어떻게 제거하는지 꿰뚫어 알며, 어떻게 하면 제거한 의심이 앞으로 다시 일어나지 않는지 꿰뚫어 안다.”
이와 같이 안으로 법에서 법을 관찰하며[法隨觀] 머문다. 혹은 밖으로 법에서 법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안팎으로 법에서 법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법에서 일어나는 현상[法]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법에서 사라지는 현상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법에서 일어나기도 하고 사라지기도 하는 현상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그는 ‘법이 있구나’라고 마음챙김을 잘 확립하나니 지혜만이 있고 마음챙김만이 현전할 때까지. 이제 그는 [갈애와 사견에] 의지하지 않고 머문다. 그는 세상에 대해서 아무 것도 움켜쥐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비구는 다섯 가지 장애의 법에서 법을 관찰하며 머문다.
4-2. The Aggregates
Furthermore, a mendicant meditates by observing an aspect of principles with respect to the five grasping aggregates. And how does a mendicant meditate observing an aspect of principles with respect to the five grasping aggregates?
It’s when a mendicant contemplates: Such is form, such is the origin of form, such is the ending of form. “Form” (rūpa) is one’s own body and the external material world experienced through the senses.
Such is feeling, such is the origin of feeling, such is the ending of feeling. Such is perception, such is the origin of perception, such is the ending of perception.
“Perception” (saññā) is the recognition or interpretation of experience in terms of meaningful wholes. We see, for example, “color” yet we perceive a “person”. In the Vinaya we find many examples where a person perceived things in one way, yet they turned out to be something else.
Such are choices, such is the origin of choices, such is the ending of choices. In the five aggregates, saṅkhārā is a synonym for “volition” (cetanā). The traditions later used it as a catch-all category for everything that does not fit in the other aggregates. In the suttas, however, the purpose of the aggregates is not to classify everything that exists, but to contemplate aspects of experience that we tend to identify as a “self”.
Such is consciousness, such is the origin of consciousness, such is the ending of consciousness.’ And so they meditate observing an aspect of principles internally …
That’s how a mendicant meditates by observing an aspect of principles with respect to the five grasping aggregates.
4-2. 다섯 가지 무더기[五蘊]
다시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다섯 가지 취착하는 무더기[五取蘊]들의 법에서 법을 관찰하며[法隨觀] 머문다.
비구들이여, 어떻게 비구가 다섯 가지 취착하는 무더기들의 법에서 법을 관찰하며 머무는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이것이 물질이다. 이것이 물질의 일어남이다. 이것이 물질의 사라짐이다. 이것이 느낌이다. 이것이 느낌의 일어남이다. 이것이 느낌의 사라짐이다. 이것이 인식이다. 이것이 인식의 일어남이다. 이것이 인식의 사라짐이다. 이것이 상카라[行]들이다. 이것이 상카라의 일어남이다. 이것이 상카라들의 사라짐이다. 이것이 알음알이다. 이것이 알음알이의 일어남이다. 이것이 알음알이의 사라짐이다’라고 [관찰하며 머문다].
이와 같이 안으로 법에서 법을 관찰하며[法隨觀] 머문다. … 그는 세상에 대해서 아무 것도 움켜쥐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비구는 다섯 가지 취착하는 무더기들의 법에서 법을 관찰하며 머문다.
4-3. The Sense Fields
Furthermore, a mendicant meditates by observing an aspect of principles with respect to the six interior and exterior sense fields. And how does a mendicant meditate observing an aspect of principles with respect to the six interior and exterior sense fields?
It’s when a mendicant understands the eye, sights, and the fetter that arises dependent on both of these. They understand how the fetter that has not arisen comes to arise; how the arisen fetter comes to be abandoned; and how the abandoned fetter comes to not rise again in the future.
They understand the ear, sounds, and the fetter …
They understand the nose, smells, and the fetter …
They understand the tongue, tastes, and the fetter …
They understand the body, touches, and the fetter …
They understand the mind, ideas, and the fetter that arises dependent on both of these. They understand how the fetter that has not arisen comes to arise; how the arisen fetter comes to be abandoned; and how the abandoned fetter comes to not rise again in the future.
And so they meditate observing an aspect of principles internally …
That’s how a mendicant meditates by observing an aspect of principles with respect to the six internal and external sense fields.
4-3. 여섯 가지 감각장소[六處]
다시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여섯 가지 안팎의 감각장소[六內外處]의 법에서 법을 관찰하며[法隨觀] 머문다. 비구들이여, 어떻게 비구가 여섯 가지 안팎의 감각장소의 법에서 법을 관찰하며 머무는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눈을 꿰뚫어 안다. 형상을 꿰뚫어 안다. 이 둘을 조건으로[緣] 일어난 족쇄도 꿰뚫어 안다. 전에 없던 족쇄가 어떻게 일어나는지 꿰뚫어 알고, 일어난 족쇄를 어떻게 제거하는지 꿰뚫어 알며, 어떻게 하면 제거한 족쇄가 앞으로 다시 일어나지 않는지 꿰뚫어 안다.
귀를 꿰뚫어 안다. 소리를 꿰뚫어 안다. … 코를 꿰뚫어 안다. 냄새를 꿰뚫어 안다. … 혀를 꿰뚫어 안다. 맛을 꿰뚫어 안다. … 몸을 꿰뚫어 안다. 감촉을 꿰뚫어 안다. … 마노를 꿰뚫어 안다. 이 둘을 조건으로 일어난 족쇄도 꿰뚫어 안다. 법을 꿰뚫어 안다. 전에 없던 족쇄가 어떻게 일어나는지 꿰뚫어 알고, 일어난 족쇄를 어떻게 제거하는지 꿰뚫어 알며, 어떻게 하면 제거한 족쇄가 앞으로 다시 일어나지 않는지 꿰뚫어 안다.
이와 같이 안으로 법에서 법을 관찰하며[法隨觀] 머문다. … 그는 세상에 대해서 아무 것도 움켜쥐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비구는 여섯 가지 안팎의 감각장소의 법에서 법을 관찰하며 머문다.
4-4. The Awakening Factors
Furthermore, a mendicant meditates by observing an aspect of principles with respect to the seven awakening factors. These seven factors that lead to awakening (bojjhaṅgā) are commonly presented in opposition to the five hindrances. And how does a mendicant meditate observing an aspect of principles with respect to the seven awakening factors?
It’s when a mendicant who has the awakening factor of mindfulness in them understands: ‘I have the awakening factor of mindfulness in me.’ When they don’t have the awakening factor of mindfulness in them, they understand: ‘I don’t have the awakening factor of mindfulness in me.’
They understand how the awakening factor of mindfulness that has not arisen comes to arise; and how the awakening factor of mindfulness that has arisen becomes fulfilled by development. “Mindfulness” includes the recollection of the teachings as well as mindfulness meditation.
When they have the awakening factor of investigation of principles … Likewise, this includes the inquiry into dhammas as “teachings” as well as “phenomena” or “principles”.energy … rapture … tranquility … immersion … equanimity in them, they understand: ‘I have the awakening factor of equanimity in me.’ When they don’t have the awakening factor of equanimity in them, they understand: ‘I don’t have the awakening factor of equanimity in me.’
They understand how the awakening factor of equanimity that has not arisen comes to arise; and how the awakening factor of equanimity that has arisen becomes fulfilled by development.
And so they meditate observing an aspect of principles internally, externally, and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They meditate observing the principles as liable to originate, as liable to vanish, and as liable to both originate and vanish. Or mindfulness is established that principles exist, to the extent necessary for knowledge and mindfulness. They meditate independent, not grasping at anything in the world.
That’s how a mendicant meditates by observing an aspect of principles with respect to the seven awakening factors.
4-4. 일곱 가지 깨달음의 구성요소[七覺支]
“다시 비구들이여, 비구는 일곱 가지 깨달음의 구성요소[七覺支]들의 법에서 법을 관찰하며 머문다. 비구들이여, 어떻게 비구가 일곱 가지 깨달음의 구성요소들의 법에서 법을 관찰하며 머무는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자기에게 마음챙김의 깨달음의 구성요소[念覺支]가 있을 때 ‘내게 마음챙김의 깨달음의 구성요소가 있다’고 꿰뚫어 알고, 마음챙김의 깨달음의 구성요소가 없을 때 ‘내게 마음챙김의 깨달음의 구성요소가 없다’고 꿰뚫어 안다. 비구는 전에 없던 마음챙김의 깨달음의 구성요소가 어떻게 일어나는지 꿰뚫어 알고, 일어난 마음챙김의 깨달음의 구성요소를 어떻게 닦아서 성취하는지 꿰뚫어 안다.
자기에게 법을 간택하는 깨달음의 구성요소[擇法覺支]가 있을 때 … 정진의 깨달음의 구성요소[精進覺支]가 있을 때 … 희열의 깨달음의 구성요소[喜覺支]가 있을 때 … 편안함의 깨달음의 구성요소[輕安覺支]가 있을 때 … 삼매의 깨달음의 구성요소[定覺支]가 있을 때 … 평온의 깨달음의 구성요소[捨覺支]가 있을 때 ‘내게 평온의 깨달음의 구성요소가 있다’고 꿰뚫어 알고, 평온의 깨달음의 구성요소가 없을 때 ‘내게 평온의 깨달음의 구성요소가 없다’고 꿰뚫어 안다. 비구는 전에 없던 평온의 깨달음의 구성요소가 어떻게 일어나는지 꿰뚫어 알고, 일어난 평온의 깨달음의 구성요소를 어떻게 닦아서 성취하는지 꿰뚫어 안다.
이와 같이 안으로 법에서 법을 관찰하며[法隨觀] 머문다. … 그는 세상에 대해서 아무 것도 움켜쥐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비구는 일곱 가지 깨달음의 구성요소들의 법에서 법을 관찰하며 머문다.
4-5. The Four Noble Truths
Furthermore, a mendicant meditates by observing an aspect of principles with respect to the four noble truths. And how does a mendicant meditate observing an aspect of principles with respect to the four noble truths?
It’s when a mendicant truly understands: ‘This is suffering’ … ‘This is the origin of suffering’ … ‘This is the cessation of suffering’ … ‘This is the practice that leads to the cessation of suffering.’
4-5. 네 가지 성스러운 진리[四聖諦]
“다시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네 가지 성스러운 진리[四聖諦]의 법에서 법을 관찰하며[法隨觀] 머문다. 비구들이여, 어떻게 비구가 네 가지 성스러운 진리의 법에서 법을 관찰하며 머무는가? 여기 비구는 ‘이것이 괴로움이다’라고 있는 그대로 꿰뚫어 안다. ‘이것이 괴로움의 일어남이다’라고 있는 그대로 꿰뚫어 안다. ‘이것이 괴로움의 지멸이다’라고 있는 그대로 꿰뚫어 안다. ‘이것이 괴로움의 지멸로 인도하는 도닦음이다’라고 있는 그대로 꿰뚫어 안다.”
4-5-1. The Truth of Suffering
And what is the noble truth of suffering?
Rebirth is suffering; old age is suffering; death is suffering; sorrow, lamentation, pain, sadness, and distress are suffering; association with the disliked is suffering; separation from the liked is suffering; not getting what you wish for is suffering. In brief, the five grasping aggregates are suffering.
And what is rebirth?
The rebirth, inception, conception, reincarnation, manifestation of the sets of phenomena, and acquisition of the sense fields of the various sentient beings in the various orders of sentient beings. The same applies to old age and death.This is called rebirth.
And what is old age? The old age, decrepitude, broken teeth, grey hair, wrinkly skin, diminished vitality, and failing faculties of the various sentient beings in the various orders of sentient beings. This is called old age.
And what is death? The passing away, passing on, disintegration, demise, mortality, death, decease, breaking up of the aggregates, laying to rest of the corpse, and cutting off of the life faculty of the various sentient beings in the various orders of sentient beings. This is called death.
And what is sorrow? The sorrow, sorrowing, state of sorrow, inner sorrow, inner deep sorrow in someone who has undergone misfortune, who has experienced suffering. In this and following definitions we mainly find mere verbal variations of the basic term.This is called sorrow.
And what is lamentation? The wail, lament, wailing, lamenting, state of wailing and lamentation in someone who has undergone misfortune, who has experienced suffering. This is called lamentation.
And what is pain? Physical pain, physical unpleasantness, the painful, unpleasant feeling that’s born from physical contact. This is called pain.
And what is sadness? Mental pain, mental displeasure, the painful, unpleasant feeling that’s born from mental contact.This is called sadness.
And what is distress? The stress, distress, state of stress and distress in someone who has undergone misfortune, who has experienced suffering. This is called distress.
And what is meant by ‘association with the disliked is suffering’? There are sights, sounds, smells, tastes, touches, and ideas, which are unlikable, undesirable, and disagreeable. And there are those who want to harm, injure, disturb, and threaten you. The coming together with these, the joining, inclusion, mixing with them: this is what is meant by ‘association with the disliked is suffering’.
And what is meant by ‘separation from the liked is suffering’? There are sights, sounds, smells, tastes, touches, and ideas, which are likable, desirable, and agreeable. And there are those who want to help, benefit, comfort, and protect you: mother and father, brother and sister, friends and colleagues, relatives and kin. The separation from these, the disconnection, segregation, and parting from them is suffering’.
And what is meant by ‘not getting what you wish for is suffering’?
In sentient beings who are liable to be reborn, such a wish arises: ‘Oh, if only we were not liable to be reborn! If only rebirth would not come to us!’ This is an example of “painful feeling not of the flesh”. But you can’t get that by wishing. This is what is meant by ‘not getting what you wish for is suffering.’ In sentient beings who are liable to grow old … fall ill … die … experience sorrow, lamentation, pain, sadness, and distress, such a wish arises: ‘Oh, if only we were not liable to experience sorrow, lamentation, pain, sadness, and distress! If only sorrow, lamentation, pain, sadness, and distress would not come to us!’ But you can’t get that by wishing. This is what is meant by ‘not getting what you wish for is suffering.’
And what is meant by ‘in brief, the five grasping aggregates are suffering’? They are the grasping aggregates that consist of form, feeling, perception, choices, and consciousness. This is what is meant by ‘in brief, the five grasping aggregates are suffering’.
This is called the noble truth of suffering.
4-5-1. 괴로움의 성스러운 진리[苦聖諦]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괴로움인가? 태어남도 괴로움이다. 늙음도 괴로움이다. 병도 괴로움이다. 죽음도 괴로움이다. 근심·탄식·육체적 고통·정신적 고통·절망도 괴로움이다.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하는 것도 괴로움이다. 요컨대 다섯 가지 취착하는 무더기[五取蘊]들 자체가 괴로움이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태어남인가? 이런 저런 중생들의 무리로부터 이런 저런 중생들의 태어남, 출생, 도래함, 생김, 탄생, 오온의 나타남, 감각장소[處]를 획득함 ―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태어남이라 한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늙음인가? 이런 저런 중생들의 무리 가운데서 이런 저런 중생들의 늙음, 노쇠함, 부서진 [이빨], 희어진 [머리털], 주름진 피부, 수명의 감소, 감각기능[根]의 허약함 ― 이를 일러 늙음이라 한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죽음인가? 이런 저런 중생들의 무리로부터 이런 저런 중생들의 종말, 제거됨, 부서짐, 사라짐, 사망, 죽음, 서거, 오온의 부서짐, 시체를 안치함, 생명기능[命根]의 끊어짐 ― 이를 일러 죽음이라 한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근심인가? 비구들이여, 이런 저런 불행을 만나고 이런 저런 괴로운 현상에 맞닿은 사람의 근심, 근심함, 근심스러움, 내면의 근심, 내면의 슬픔 ― 이를 일러 근심이라 한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탄식인가? 비구들이여, 이런 저런 불행을 만나고 이런 저런 괴로운 법에 맞닿은 사람의 한탄, 비탄, 한탄함, 비탄함, 한탄스러움, 비탄스러움 ― 이를 일러 탄식이라 한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육체적 고통인가? 비구들이여, 몸의 고통, 몸의 불편함, 몸에 맞닿아 생긴 고통스럽고 불편한 느낌 ― 이를 일러 육체적 고통이라 한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정신적 고통인가? 비구들이여, 정신적인 불편함, 마음에 맞닿아 생긴 고통스럽고 불편한 느낌 ― 이를 일러 정신적 고통이라 한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절망인가? 비구들이여, 이런 저런 불행을 만나고 이런 저런 괴로운 법에 맞닿은 사람의 실망, 절망, 실망함, 절망함 ― 이를 일러 절망이라 한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하는 괴로움인가? 비구들이여, 태어나기 마련인 중생들에게 이런 바람이 일어난다. ‘오 참으로 우리에게 태어나는 법이 있지 않기를! 참으로 그 태어남이 우리에게 오지 않기를!’이라고. 그러나 이것은 원함으로서 얻어지지 않는다.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하는 이것도 괴로움이다. 비구들이여, 늙기 마련인 중생들에게 … 병들기 마련인 중생들에게 … 죽기 마련인 중생들에게 … 근심/탄식/육체적 고통/정신적 고통/절망을 하기 마련인 중생들에게 이런 바람이 일어난다. ‘오 참으로 우리에게 근심/탄식/육체적 고통/정신적 고통/절망하는 법이 있지 않기를! 참으로 그 근심/탄식/육체적 고통/정신적 고통/절망이 우리에게 오지 않기를!’이라고. 그러나 이것은 원함으로서 얻어지지 않는다.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하는 이것도 역시 괴로움이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요컨대 다섯 가지 취착하는 무더기[五取蘊]들 자체가 괴로움인가? 그것은 취착하는 물질의 무더기[色取蘊], 취착하는 느낌의 무더기[受取蘊], 취착하는 인식의 무더기[想取蘊], 취착하는 상카라들의 무더기[行取蘊], 취착하는 알음알이의 무더기[識取蘊]이다. 비구들이여, 요컨대 취착하는 이 다섯 가지 무더기들 자체가 괴로움이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괴로움의 성스러운 진리라 한다.”
4-5-2. The Origin of Suffering
And what is the noble truth of the origin of suffering?
It’s the craving that leads to future lives, mixed up with relishing and greed, taking pleasure wherever it lands. That is, craving for sensual pleasures, craving for continued existence, and craving to end existence.
But where does that craving arise and where does it settle? Whatever in the world seems nice and pleasant, it is there that craving arises and settles.
And what in the world seems nice and pleasant? The eye in the world seems nice and pleasant, and it is there that craving arises and settles. The following list of properties that relate to the senses gradually moves from the more basic to the more sophisticated.The ear … nose … tongue … body … mind in the world seems nice and pleasant, and it is there that craving arises and settles.
Sights … sounds … smells … tastes … touches … ideas in the world seem nice and pleasant, and it is there that craving arises and settles.
Eye consciousness … “Eye consciousness” is aware only of “light”; it sees colors but does not interpret them.ear consciousness … nose consciousness … tongue consciousness … body consciousness … mind consciousness in the world seems nice and pleasant, and it is there that craving arises and settles.
Eye contact … “Contact” or “stimulus” happens when the sense base, the sense object, and the sense consciousness all occur together.ear contact … nose contact … tongue contact … body contact … mind contact in the world seems nice and pleasant, and it is there that craving arises and settles.
Feeling born of eye contact … feeling born of ear contact … feeling born of nose contact … feeling born of tongue contact … feeling born of body contact … feeling born of mind contact in the world seems nice and pleasant, and it is there that craving arises and settles.
Perception of sights … “Perception” interprets the “light” that is seen, organizing it in meaningful whole. For example, the eye sees the color white, while perception recognizes that it is “white”, and further, that that white color is in fact a “wall” perception of sounds … perception of smells … perception of tastes … perception of touches … perception of ideas in the world seems nice and pleasant, and it is there that craving arises and settles.
Intention regarding sights … To continue the example, once the light has been interpreted by perception as a “wall”, we then make the choice to walk around it rather than through it. Choices therefore depend on perceptions.intention regarding sounds … intention regarding smells … intention regarding tastes … intention regarding touches … intention regarding ideas in the world seems nice and pleasant, and it is there that craving arises and settles.
Craving for sights … craving for sounds … craving for smells … craving for tastes … craving for touches … craving for ideas in the world seems nice and pleasant, and it is there that craving arises and settles.
Thoughts about sights … thoughts about sounds … thoughts about smells … thoughts about tastes … thoughts about touches … thoughts about ideas in the world seem nice and pleasant, and it is there that craving arises and settles.
Considerations regarding sights … “Consideration” is vicāra, a more sustained exercise of thought.considerations regarding sounds … considerations regarding smells … considerations regarding tastes … considerations regarding touches … considerations regarding ideas in the world seem nice and pleasant, and it is there that craving arises and settles.
This is called the noble truth of the origin of suffering.
4-5-2. 괴로움의 일어남의 성스러운 진리[集聖諦]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괴로움의 일어남의 성스러운 진리[苦集聖諦]인가? 그것은 갈애이니, 다시 태어남을 가져오고 환희와 탐욕이 함께 하며 여기저기서 즐기는 것이다. 즉 감각적 욕망에 대한 갈애[慾愛], 존재에 대한 갈애[有愛], 존재하지 않는 것에 대한 갈애[無有愛]가 그것이다.”
“다시 비구들이여, 이런 갈애는 어디서 일어나서 어디서 자리 잡는가? 세상에서 즐겁고 기분 좋은 것이 있으면 거기서 이 갈애는 일어나고 거기서 자리 잡는다. 그러면 세상에서 어떤 것이 즐겁고 기분 좋은 것인가? 눈은 세상에서 즐겁고 기분 좋은 것이다. 귀는 … 코는 … 혀는 … 몸은 … 마노는 세상에서 즐겁고 기분 좋은 것이다. 여기서 이 갈애는 일어나고 여기서 자리 잡는다. 형상은 … 소리는 … 냄새는 … 맛은 … 감촉은 … [마노의 대상인] 법[法]은 세상에서 즐겁고 기분 좋은 것이다. 여기서 이 갈애는 일어나고 여기서 자리 잡는다. 눈의 알음알이는 … 귀의 알음알이는 … 코의 알음알이는 … 혀의 알음알이는 … 몸의 알음알이는 … 마노의 알음알이는 세상에서 즐겁고 기분 좋은 것이다. 여기서 이 갈애는 일어나고 여기서 자리 잡는다.”
“눈의 감각접촉[觸]은 … 귀의 감각접촉은 … 코의 감각접촉은 … 혀의 감각접촉은 … 몸의 감각접촉은 … 마노의 감각접촉은 세상에서 즐겁고 기분 좋은 것이다. 여기서 이 갈애는 일어나고 여기서 자리 잡는다. 눈의 감각접촉에서 생긴 느낌은 … 귀의 감각접촉에서 생긴 느낌은 … 코의 감각접촉에서 생긴 느낌은 … 혀의 감각접촉에서 생긴 느낌은 … 몸의 감각접촉에서 생긴 느낌은 … 마노의 감각접촉에서 생긴 느낌은 세상에서 즐겁고 기분 좋은 것이다. 여기서 이 갈애는 일어나고 여기서 자리 잡는다. 눈의 인식은 … 귀의 인식은 … 코의 인식은 … 혀의 인식은 … 몸의 인식은 … 마노의 인식은 세상에서 즐겁고 기분 좋은 것이다. 여기서 이 갈애는 일어나고 여기서 자리 잡는다.”
“눈의 의도는 … 귀의 의도는 … 코의 의도는 … 혀의 의도는 … 몸의 의도는 … 마노의 의도는 세상에서 즐겁고 기분 좋은 것이다. 여기서 이 갈애는 일어나고 여기서 자리 잡는다. 눈의 갈애는 … 귀의 갈애는 … 코의 갈애는 … 혀의 갈애는 … 몸의 갈애는 … 마노의 갈애는 세상에서 즐겁고 기분 좋은 것이다. 여기서 이 갈애는 일어나고 여기서 자리 잡는다. 눈의 일으킨 생각[尋]은 … 귀의 일으킨 생각은 … 코의 일으킨 생각은 … 혀의 일으킨 생각은 … 몸의 일으킨 생각은 … 마노의 일으킨 생각은 세상에서 즐겁고 기분 좋은 것이다. 여기서 이 갈애는 일어나고 여기서 자리 잡는다. 눈의 지속적인 고찰[伺]은 … 귀의 지속적인 고찰은 … 코의 지속적인 고찰은 … 혀의 지속적인 고찰은 … 몸의 지속적인 고찰은 … 마노의 지속적인 고찰은 세상에서 즐겁고 기분 좋은 것이다. 여기서 이 갈애는 일어나고 여기서 자리 잡는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괴로움의 일어남의 성스러운 진리라 한다.”
4-5-3. The Cessation of Suffering
And what is the noble truth of the cessation of suffering?
It’s the fading away and cessation of that very same craving with nothing left over; giving it away, letting it go, releasing it, and not clinging to it.
Whatever in the world seems nice and pleasant, it is there that craving is given up and ceases.
And what in the world seems nice and pleasant? The eye in the world seems nice and pleasant, and it is there that craving is given up and ceases. …
Considerations regarding ideas in the world seem nice and pleasant, and it is there that craving is given up and ceases.
This is called the noble truth of the cessation of suffering.
4-5-3. 괴로움의 지멸의 성스러운 진리[滅聖諦]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괴로움의 지멸의 성스러운 진리[苦滅聖諦]인가? 갈애가 남김없이 빛바래어 지멸함, 버림, 놓아버림, 벗어남, 집착 없음이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괴로움의 지멸의 성스러운 진리라 한다.”
“다시 비구들이여, 그런 이 갈애는 어디서 없어지고 어디서 지멸되는가? 세상에서 즐겁고 기분 좋은 것이 있으면 거기서 이 갈애는 없어지고 거기서 지멸된다. 그러면 세상에서 어떤 것이 즐겁고 기분 좋은 것인가? 눈은 세상에서 즐겁고 기분 좋은 것이다. 귀는 … 코는 … 혀는 … 몸은 … 마음은 세상에서 즐겁고 기분 좋은 것이다. 여기서 이 갈애는 없어지고 여기서 지멸된다. 형상은 … 소리는 … 냄새는 … 맛은 … 감촉은 … [마노의 대상인] 법[法]은 세상에서 즐겁고 기분 좋은 것이다. 여기서 이 갈애는 없어지고 여기서 지멸된다. 눈의 알음알이는 … 귀의 알음알이는 … 코의 알음알이는 … 혀의 알음알이는 … 몸의 알음알이는 … 마노의 알음알이는 세상에서 즐겁고 기분 좋은 것이다. 여기서 이 갈애는 없어지고 여기서 지멸된다.”
“눈의 감각접촉은 … 귀의 감각접촉은 … 코의 감각접촉은 … 혀의 감각접촉은 … 몸의 감각접촉은 … 마노의 감각접촉은 세상에서 즐겁고 기분 좋은 것이다. 여기서 이 갈애는 없어지고 여기서 지멸된다. 눈의 감각접촉에서 생긴 느낌은 … 귀의 감각접촉에서 생긴 느낌은 … 코의 감각접촉에서 생긴 느낌은 … 혀의 감각접촉에서 생긴 느낌은 … 몸의 감각접촉에서 생긴 느낌은 … 마노의 감각접촉에서 생긴 느낌은 세상에서 즐겁고 기분 좋은 것이다. 여기서 이 갈애는 없어지고 여기서 지멸된다. 눈의 인식은 … 귀의 인식은 … 코의 인식은 … 혀의 인식은 … 몸의 인식은 … 마노의 인식은 세상에서 즐겁고 기분 좋은 것이다. 여기서 이 갈애는 없어지고 여기서 지멸된다.”
“눈의 의도는 … 귀의 의도는 … 코의 의도는 … 혀의 의도는 … 몸의 의도는 … 마노의 의도는 세상에서 즐겁고 기분 좋은 것이다. 여기서 이 갈애는 없어지고 여기서 지멸된다. 눈의 갈애는 … 귀의 갈애는 … 코의 갈애는 … 혀의 갈애는 … 몸의 갈애는 … 마노의 갈애는 세상에서 즐겁고 기분 좋은 것이다. 여기서 이 갈애는 없어지고 여기서 지멸된다. 눈의 일으킨 생각은 … 귀의 일으킨 생각은 … 코의 일으킨 생각은 … 혀의 일으킨 생각은 … 몸의 일으킨 생각은 … 마노의 일으킨 생각은 세상에서 즐겁고 기분 좋은 것이다. 여기서 이 갈애는 없어지고 여기서 지멸된다. 눈의 지속적인 고찰은 … 귀의 지속적인 고찰은 … 코의 지속적인 고찰은 … 혀의 지속적인 고찰은 … 몸의 지속적인 고찰은 … 마노의 지속적인 고찰은 세상에서 즐겁고 기분 좋은 것이다. 여기서 이 갈애는 없어지고 여기서 지멸된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괴로움의 지멸의 성스러운 진리라 한다.”
4-5-4. The Eightfold Path
And what is the noble truth of the practice that leads to the cessation of suffering?
It is simply this noble eightfold path, that is: right view, right thought, right speech, right action, right livelihood, right effort, right mindfulness, and right immersion. Mindfulness is not a path in and of itself, but rather is the seventh factor of the eightfold path.
And what is right view? Knowing about suffering, the origin of suffering, the cessation of suffering, and the practice that leads to the cessation of suffering.
The fourth noble truth is the path, while the first path factor is the noble truth. These two teachings are different perspectives on the same dhamma.This is called the right view.
And what is right thought? Thoughts of renunciation, good will, and harmlessness. Saṅkappa is normally a synonym of vitakka in the suttas, hence the rendering “right thought”. It is, however, not just verbalized thought, but the direction in which one applies the mind. This factor is the emotional counterpart of right view, ensuring that the path is motivated by love and compassion.This is called right thought.
And what is right speech? The refraining from lying, divisive speech, harsh speech, and talking nonsense. This is called the right speech.
And what is right action? Refraining from killing living creatures, stealing, and sexual misconduct. The first three of the five precepts. “Sexual misconduct” is the betrayal of trust in a sexual relationship.This is called right action.
And what is right livelihood? It’s when a noble disciple gives up wrong livelihood and earns a living by right livelihood. Defined for a monastic in the long section on ethics in the Sāmaññaphalasutta and for a lay person as trade in weapons, living creatures, meat, intoxicants, and poisons.This is called right livelihood.
And what is right effort? It’s when a mendicant generates enthusiasm, tries, makes an effort, exerts the mind, and strives so that bad, unskillful qualities don’t arise. They generate enthusiasm, try, make an effort, exert the mind, and strive so that bad, unskillful qualities that have arisen are given up. They generate enthusiasm, try, make an effort, exert the mind, and strive so that skillful qualities arise. They generate enthusiasm, try, make an effort, exert the mind, and strive so that skillful qualities that have arisen remain, are not lost, but increase, mature, and are completed by development. This is called the right effort.
And what is right mindfulness? It’s when a mendicant meditates by observing an aspect of the body—keen, aware, and mindful, rid of covetousness and displeasure for the world. They meditate observing an aspect of feelings—keen, aware, and mindful, rid of covetousness and displeasure for the world. They meditate observing an aspect of the mind—keen, aware, and mindful, rid of covetousness and displeasure for the world. They meditate observing an aspect of principles—keen, aware, and mindful, rid of covetousness and displeasure for the world. This is called right mindfulness.
And what is right immersion? It’s when a mendicant, quite secluded from sensual pleasures, secluded from unskillful qualities, enters and remains in the first absorption, which has the rapture and bliss born of seclusion, while placing the mind and keeping it connected. As the placing of the mind and keeping it connected are stilled, they enter and remain in the second absorption, which has the rapture and bliss born of immersion, with internal clarity and mind at one, without placing the mind and keeping it connected. And with the fading away of rapture, they enter and remain in the third absorption, where they meditate with equanimity, mindful and aware, personally experiencing the bliss of which the noble ones declare, ‘Equanimous and mindful, one meditates in bliss.’ Giving up pleasure and pain, and ending former happiness and sadness, they enter and remain in the fourth absorption, without pleasure or pain, with pure equanimity and mindfulness. This is called right immersion.
This is called the noble truth of the practice that leads to the cessation of suffering.
And so they meditate observing an aspect of principles internally, externally, and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They meditate observing the principles as liable to originate, as liable to vanish, and as liable to both originate and vanish. Or mindfulness is established that principles exist, to the extent necessary for knowledge and mindfulness. They meditate independent, not grasping at anything in the world.
That’s how a mendicant meditates by observing an aspect of principles with respect to the four noble truths.
4-5-4. 도닦음의 성스러운 진리[道聖諦]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괴로움의 지멸로 인도하는 도닦음의 성스러운 진리[苦滅道聖諦]인가? 그것은 바로 여덟 가지 구성요소를 가진 성스러운 도[八支聖道]이니, 즉 바른 견해[正見], 바른 사유[正思惟], 바른 말[正語], 바른 행위[正業], 바른 생계[正命], 바른 정진[正精進], 바른 마음챙김[正念], 바른 삼매[正定]이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바른 견해[正見]인가? 비구들이여, 괴로움에 대한 지혜, 괴로움의 일어남에 대한 지혜, 괴로움의 지멸에 대한 지혜, 괴로움의 지멸로 인도하는 도닦음에 대한 지혜 ― 이를 일러 바른 견해라 한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바른 사유[正思惟]인가? 비구들이여, 출리에 대한 사유, 악의 없음에 대한 사유, 해코지 않음[不害]에 대한 사유 ― 이를 일러 바른 사유라 한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바른 말[正語]인가? 비구들이여, 거짓말을 삼가하고 중상모략을 삼가하고 욕설을 삼가하고 잡담을 삼가하는 것 ― 이를 일러 바른 말이라 한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바른 행위[正業]인가? 비구들이여, 살생을 삼가하고 도둑질을 삼가하고 삿된 음행을 삼가하는 것 ― 이를 일러 바른 행위라 한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바른 생계[正命]인가? 비구들이여, 성스러운 제자는 삿된 생계를 제거하고 바른 생계로 생명을 영위한다. ―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바른 생계라 한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바른 정진[正精進]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아직 일어나지 않은 사악하고 해로운 법[不善法]들을 일어나지 못하게 하기 위해서 의욕을 생기게 하고 정진하고 힘을 내고 마음을 다잡고 애를 쓴다. 이미 일어난 사악하고 해로운 법들을 제거하기 위하여 의욕을 생기게 하고 정진하고 힘을 내고 마음을 다잡고 애를 쓴다. 아직 일어나지 않은 유익한 법[善法]들을 일어나도록 하기 위해서 의욕을 생기게 하고 정진하고 힘을 내고 마음을 다잡고 애를 쓴다. 이미 일어난 유익한 법들을 지속시키고 사라지지 않게 하고 증장시키고 충만하게 하고 개발하기 위해서 의욕을 생기게 하고 정진하고 힘을 내고 마음을 다잡고 애를 쓴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바른 정진이라 한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바른 마음챙김[正念]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身隨觀] 머문다. 세상에 대한 욕심과 싫어하는 마음을 버리면서 근면하게, 분명히 알아차리고 마음챙기며 머문다. 느낌들에서 … 마음에서 … 법에서 법을 관찰하며[法隨觀] 머문다. 세상에 대한 욕심과 싫어하는 마음을 버리면서 근면하게, 분명히 알아차리고 마음챙기며 머문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바른 마음챙김이라 한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바른 삼매[正定]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감각적 욕망을 완전히 떨쳐버리고 해로운 법[不善法]들을 떨쳐버린 뒤, 일으킨 생각[尋]과 지속적인 고찰[伺]이 있고 떨쳐버렸음에서 생겼고, 희열[喜, pīti]과 행복[樂, sukha]이 있는 초선(初禪)에 들어 머문다.
일으킨 생각과 지속적인 고찰을 가라앉혔기 때문에 [더 이상 존재하지 않으며], 자기 내면의 것이고, 확신(sampasādana)이 있으며, 마음의 단일한 상태이고, 일으킨 생각과 지속적인 고찰이 없고, 삼매에서 생긴 희열과 행복이 있는 제2선(二禪)에 들어 머문다.
희열이 빛바랬기 때문에 평온하게 머물고, 마음챙기고 알아차리며[正念正知] 몸으로 행복을 경험한다. 이를 두고 성자들이 ‘평온하게 마음챙기며 행복하게 머문다’고 묘사하는 제3선(三禪)에 들어 머문다.
행복도 버리고 괴로움도 버리고, 아울러 그 이전에 이미 기쁨과 슬픔을 없앴으므로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으며, 평온으로 인해 마음챙김이 청정한[捨念淸淨] 제4선(四禪)에 들어 머문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바른 삼매라 한다.”
“이와 같이 안으로 법에서 법을 관찰하며[法隨觀] 머문다. 혹은 밖으로 법에서 법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안팎으로 법에서 법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법들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법들에서 사라지는 현상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법들에서 일어나기도 하고 사라지기도 하는 현상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그는 ‘법이 있구나’라고 마음챙김을 잘 확립하나니 지혜만이 있고 마음챙김만이 현전할 때까지. 이제 그는 [갈애와 사견에] 의지하지 않고 머문다. 그는 세상에 대해서 아무 것도 움켜쥐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비구는 네 가지 성스러운 진리의 법에서 법을 관찰하며 머문다.”
Promise of Enlightenment
Anyone who develops these four kinds of mindfulness meditation in this way for seven years can expect one of two results: The emphasis is on “develop in this way” (evaṁ bhāveyya), that is, with the full practice including deep absorption as the culmination of the path as a whole.enlightenment in this very life, or if there’s something left over, non-return.
Let alone seven years, anyone who develops these four kinds of mindfulness meditation in this way for six years … five years … four years … three years … two years … one year … seven months … six months … five months … four months … three months … two months … one month … a fortnight … Let alone a fortnight, anyone who develops these four kinds of mindfulness meditation in this way for seven days can expect one of two results: enlightenment in this very life, or if there’s something left over, non-return.
‘The four kinds of mindfulness meditation are the path to convergence. They are in order to purify sentient beings, to get past sorrow and crying, to make an end of pain and sadness, to discover the system, and to realize extinguishment.’ That’s what I said, and this is why I said it.”
That is what the Buddha said. Satisfied, the mendicants approved what the Buddha said.
깨달음의 보증
“비구들이여, 누구든지 이 네 가지 마음챙김의 확립[四念處]을 이와 같이 칠 년을 닦는 사람은 두 가지 결과 중의 하나를 기대할 수 있다. 지금 여기서 구경지(究竟智)를 얻거나, 취착의 자취가 남아 있으면 다시는 돌아오지 않는 경지[不還果]를 기대할 수 있다.
비구들이여, 칠 년은 그만두고 누구든지 이 네 가지 마음챙김의 확립을 이와 같이 육 년을 닦는 사람은 … 오 년을 … 사 년을 … 삼 년을 … 이 년을 … 일년은 그만두고 누구든지 이 네 가지 마음챙김의 확립을 이와 같이 일곱 달을 닦는 사람은 두 가지 결과 중의 하나를 기대할 수 있다. 지금 여기서 구경지를 얻거나, 취착의 자취가 남아 있으면 다시는 돌아오지 않는 경지를 기대할 수 있다.
일곱 달은 그만두고 누구든지 여섯 달을 … 다섯 달을 … 네 달을 … 세 달을 … 두 달을 … 한 달을 … 반달을 … 반달은 그만두고 누구든지 이 네 가지 마음챙김의 확립을 이와 같이 칠 일을 닦는 사람은 두 가지 결과 중의 하나를 기대할 수 있다. 지금 여기서 구경지를 얻거나, 취착의 자취가 남아 있으면 다시는 돌아오지 않는 경지를 기대할 수 있다.”
“‘비구들이여, 이 도는 유일한 길이니 중생들의 청정을 위하고 근심과 탄식을 다 건너기 위한 것이며, 육체적 고통과 정신적 고통을 사라지게 하고 옳은 방법을 터득하고 열반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다. 그것은 바로 네 가지 마음챙김의 확립[四念處]이다.’라고 설한 것은 이것을 반연하여 설하였다.”
세존께서는 이와 같이 설하셨다. 그 비구들은 마음이 흡족해져서 세존의 설법을 기뻐하였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